지난 일요일, 볼일로 시내에 들어갔다가 극장 앞에 줄지어 늘어서 있는 장사진을 보고, 시민들은 참 열심히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한낮의 뙤약볕 아래 묵묵히 서 있는 그들의 얼굴을 가까이서 보았을 때 측은한 생각이 고개를 들었다. 먼 길의 나그네에게서나 느낄 수 있는 피로와 우수의 그림자 같은 걸 읽었기 때문이다.

   모처럼 휴일을 맞아 남들은 권태로운 영역을 탈출, 녹음이 짙은 산과 출렁거리는 물가에서 여가를 즐기고 있을 텐데, 무슨 자력에라도 매달리듯 마냥 같은 공해지대에서 서성거리고 있는 그 모습들이 조금은 안쓰러웠다. 시정의 서민들이 기껏 즐길 수 있는 오락이라는 게 바로 극장에서 돌아가고는 있지만.

   우리고 가끔 그런 오락의 혜택을 받을 때가 있다. 그러나 백주의 장사진에 낄 만한 열성은 갖지 못했다. 사실 오락은 그대의 기분과 직결되는 것이라 때와 종소가 문제되지 않을 수 없다.

   얼마 전 우리 국산 영화사상 드물게 보는 수작이라고, 그걸 안 보면 한이 되리라는 듯이 하도 보채대는 광고와 영화평에 이끌려 한낮에 을지로 쪽으로 찾아갔었다. 극장을 나오는 길로 약국에 들러 두통약을 사서 먹고도 불쾌감은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영화 자체도 문제 이하의 것이지만(전문가들은 그 영화에 무슨 상을 내렸다) 그 극장의 분위기가 퀴퀴하게 밀폐된 창고 같아서 30분도 못 되어 골이 아프기 시작했다. 즐기러 갔다가 즐기기는커녕 고통을 당한 것이다. 허물은 물론 광고문에 속은 이쪽에 있었다.

   나는 그래서 조조할인을 좋아한다. 그 까닭은 결코 할인에 있는 것이 아니고 조조(早朝)의 그 분위기에 있다. 우선 창구 앞에 늘어설 필요가 없으니 절차가 간단해서 좋다. 줄지어 늘어서서 기다릴 때 오락은 절반쯤 그 폭이 줄어들 것이다.

   그리고 아무데나 앉고 싶은 자리에 앉을 수 있는 특권이 있다. 안내양의 그 불안하도록 희미한 플래시의 지시를 받을 필요도 없이 선택의 좌석이 여기저기 마련되어 있다. 모처럼 배당받은 좌석 앞에 벽처럼 버티고 앉은 좌고(坐高)가 시야를 가릴 경우 나의 죄 없는 고개는 피해를 입어야 ㅎ나다. 그러나 조조에는 그런 피해도 없다.

   무엇보다도 조조의 매력은 듬성듬성 앉아 있는 그 여유 있는 공간에 있을 것 같다. 우리들이 영화나 연극을 보는 것은 단조롭고 반복되는 일상적인 굴레에서 벗어나 색다른 세계에 자신을 투입하여 즐기려는 것인데, 밀접한 일상이 영화관에까지 연장된다면 어떻게 색다른 세계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그러한 밀집은 출퇴근 시간의 만원 버스나 다닥다닥 붙은 이웃집 처마 끝만으로도 충분하다. 가뜩이나 각박한 세정에 듬성듬성 앉을 수 있는 그러한 공간은 여유가 있어 좋다.

   그렇게 앉아 있는 뒷모습들을 보노라면 말할 수 없는 친근감이 출렁거리게 된다. 이 아침에 모인 이웃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일자리를 얻지 못해 얹혀사는 사람들일까, 혹은 너무 선량하기 때문에 일터에서 밀려난 사람들일까? 아니면 자나는 길에 훌쩍 들른 그런 사람들일까“ 어쨌든 다 선량한 사람들만 같다.

   누가 잘못해 자기 발등을 좀 밟았기로 글만한 일을 가지고 눈을 흘기거나 시비를 걸 사람은 아닐 것 같다. 나직한 소리로 이야기를 하면 막혔던 의사가 술술 풀릴 그런 이웃들 같다.

   <25 시>를 보고 나오던 지난해 여름의 조조, 몇 사람의 얼굴에서 눈물 자국을 보았을 때 나는 문득 “요한 모리츠!”하고 그들의 손을 덥석 쥐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1970
글출처 : 무소유(법정스님, 범우사) 中에서......
 
  
2014.12.23 (14:44:08)
[레벨:28]圓成
 
 
 

직장에 매인 몸이라 불행히도 조조는 가 본 적이 없습니다.

오늘 저녁 "님아! 그 강 건너지 마오" 예약했는데 과연 어떨지......

 
(1.214.7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