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답글(꼬리글)을 남기면 기분이 좋아집니다. 답글을 남기면 왠지 기분이 좋아집니다.왜냐면 답글을 남김으로 인해 회원이라는 소속감의 자부심과 긍지를 가질수 있고, 회원들의 마음을 함께 공유하고 생각할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 기분이 좋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꼬리글이 게시물 작성자에게는 큰힘이 됩니다. 게시물 작성자 입장에서는 내 게시물을 과연 누가 보고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궁금합니다. 답글이 많으면 왠지 힘이 더 솟는듯 하고, 뿌뜻한 자긍심과 답글을 읽는 재미와 기대 때문에 좀 더 좋은 게시물을 작성하고자 더욱 정성을 깃들여 게시물을 올리게 됩니다. 3. 홈에 더 가깝게 다가설 수 있게 합니다. 글 재주가 없으십니까? 아시는 분이 없어 서먹서먹하고 멋적어서 글만 읽고 가시지는 않는지요. 원래 처음에는 그렇습니다. 그러나 조그마한 용기를 내서 써보시면 곧 익숙해지실 것이고 자기 답글에 대한 답글이 때로는 올라올 때 기쁨과 함께 홈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가 있습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요. 자~~~ 흉보는 사람 없으니 써보시고 또한 다른 사람의 닉과 이름을 알게되면서 친숙함도 느낄 것입니다 4. 답글이 궁금해서 더 많이 조회하고, 접속하게 됩니다. 게시물만 읽고 나갔는데, 다음날 보니 답글이 엄청 쌓였답니다. 답글이 쌓이면,답글이 더 궁금해서 읽었던 게시물을 한번 더 읽게 되곤 합니다. 답글을 통해 간만에 접속한 님들의 소식도 간접적으로 알 수 있고 잼있는 답글이 없나 궁금해서라도 한번 더 보게 됩니다. 5. 머리를 쓰게 됩니다. 답글을 쓰려면 다른 사람들도 자기 글을 읽는다는 것을 알고 머리를 써서 더 잘쓰려고 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여러가지 생각하게 됩니다. 치매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6. 타자가 늡니다. 자판 타수가 느리신 분들이 있습니다. 일명 독수리 타법이라고도 하지요. 이제부터, 답글을 남길때마다 연습해 보십시요. 금방 늘어만 가는 자신의 타자실력을 보실수 있습니다. 7. 손가락운동, 손목운동이 됩니다. 컴퓨터 사용을 하실때, 마우스만 사용하다 보면, 손이 근질 근질 거릴때가 있습니다. 특히 손은 자주 사용 해줘야 합니다. 손가락도 물론이죠. 이럴때 답글을 쓰다보면 저절로 손가락 및 손목에 뭉쳐져 있던 근육들을 풀게 해주는 운동을 하므로 쉽게 운동효과를 볼 수있게 됩니다. 8. 작가가 되는 길에 한걸음 다가갑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꼬리글을 쓰려면 내용을 알아야 하니 글을 찬찬히 보게되면서 문학이 성장되면서 글 내용도 점점 좋아지고 한정되어 있으니 함축해서 글을 쓰게되면서 시나 글을 쓰는데 두려움이 없어지면서 자신도 작가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9. 성격이 좋아집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성격도 제각각 때론 패쇄적인 성격이 있는 사람들도 많지요. 특히 여인들에게 자주 나타나지요. 어차피 觸勞?살아가는 사회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사람들은 답글을 쓰다보면 자연히 친화적인 성격으로 변해가고 밝은 사람은 자기의 장점을 유감없이 발휘하게됩니다 10.좋은 인연을 만들수도 있습니다. 서로 얼굴도 모르는 사이버상이지만 때로는 만나기 힘든 인연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 학연, 지연, 혈연등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을 만나는것이 중요한것이라 생각합니다. ♡♡ 어때요?? 그냥 가시지들 말고요.. 답급들 함 남겨 보시지 않으실래요?? 글구 자기글에 대한 댓글손님에게 예쁘게 인사도 하구유^^* ♡♡
댓글
2005.12.15 08:32:30 (*.105.151.138)
오작교
산머루님.
제가 하고싶은 말을 님께서 전부 올려주셨네요.
공짓글로 하여서 올려 놓겠습니다.
댓글
2005.12.15 08:38:36 (*.222.98.223)
Jango
-어느분이 이미 올렸던 내용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댓글을 단다는 것은 좀 성의를 "요"하는것은 사실입니다.
산머루도 마찬가지입니다.
글구 우리 좋으신 분들의 마음을 조금이래도 아프게하는 사적인 글 또한 삼가해야한다고 봅니다.
게시물의 댓글보는 재미와 그 댓글에 대한 고맙다는 인사하는 재미또한
얼마나 좋은지 좋으신분들도 조금은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우리 좋으신분들의 안식처 좋은사람들의 방으로 만들면 더더욱 아름답겠죠^^*^^
댓글
2005.12.15 08:45:58 (*.222.98.223)
Jango
ㅎㅎㅎ
쥔장 어른!
아침은 드셨겠죠^*^ 허긴 지금 몇시인디~~~
수정하는 동안 나도 모르게 먼저 다녀 가셨네요^^
아마 이런 재미로 댓글을 기다리는 지도 모릅니다. 오늘 하루는 너무 기분 좋은 날이 될것같으네요.
쥔장도 즐거운 하루 되시구려^^
사실은 요 내용은 어젯밤에 [느낌씨네 놀러갔다가 "김치" 대신 가져 왔답니다ㅎㅎㅎ].......^*^
댓글
2005.12.15 09:45:55 (*.231.153.111)
달마
profile
산머루 님
품앗이하러 왔습니다.
댓글을 한글사전에서 찾아보니 없고 백과사전에
"덧글, 혹은 댓글(Comment, 코멘(트))은 한 게시물에 바로 밑에 즉시 남길 수 있는 짧은 글이다.
덧글은 기존의 답글과 기술적으로 비슷하지만, 즉각적인 인터페이스로 인해 답글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논리적인 반박글이나 동의하는 글 보다는 짦은 감상 평 위주이다. 따라서 감정적인 반대나 지극히 단순한 맞장구 등이 자주 보인다. 더욱이 일부 네티즌들은 누가 먼저 덧글을 달았는지 겨루는 등수 놀이를 하기도 한다"로 되어 있었습니다.

덧붙이는 글을 “댓글”이라고 하던데 영어로는 리플라이(reply). 줄여서 “리플”이라고도 하더군요.
더러는 답글. 덧글. 쪽글. 코멘트로도 쓰고, 글이 아니라 말이라며 “댓말”이나 “덧말” “한마디”등으로도
하더군요.
“올림말” 어떻습니까?
댓글의 사전적 정의야 뭐 그리 중요하겠습니다.
마음을 담고 전하고 그래서 위로허고 위로받고 그러면서 행복함을 느끼는 공간을 만들자는 것이지오!!!!
감사합니다. 위에 그림영상 한번 손봐 주시죠
댓글
2005.12.15 10:47:53 (*.84.38.67)
Jango
달마님!
품앗이가 얼마나 좋은지 모릅니다.
왜 시골에서 봄가을에 가정마다 일손이 부족하면 이웃사촌끼리 품앗이란 이름으로 서로서로
돕고 살아가는 풍습이 얼마나 좋습니까?
님의 말씀대로 과거에는 "리플'이란 말을 많이 사용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언젠가 부터 방송에서 "리플"이란 외래어 대신 "댓글"이란 말을 사용하자는 진행자의 말을 듣고
공감이 가더군요.
그래서 우리 초등학교 홈페이지도 산머루가 사용하기 시작해서 지금은 "댓글"이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요즘은 다른곳도 댓글이란 말을 많이들 사용하더군요.
물론 말씀대로 "올린말"도 순수 토종같아서 듣기 좋습니다.
ㅎㅎㅎ위의 영상은 수정하는경우 그런 현상이 생기더군요....원인은 내 알지만....ㅎㅎㅎ고맙습니다.
우리 자주 품앗이 합시다.
댓글
2005.12.15 15:49:06 (*.235.244.38)
고운초롱
오마나~
오라버니 님들께서 한자리에..
오손~도손 "좋은사람들방"을 워떠케 이쁘게 꾸밀 것인가??
"토론회"를 하고 계신모습이~
너무나 아름답게 느껴져~ㅎ~
초롱이 넘~행복하네요.^^

오작교의 홈!!만세!!
"좋은사람들방"~화이~팅~!!
댓글
2005.12.15 17:08:54 (*.84.79.135)
Jango
초롱님 즐겁죠^*^
이렇게 잼있는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좋은사람들의 방을 마련해주신
우리 오작교님도 아마 흐뭇하실겁니다.
사실 댓글을 달아준다는 것은 조금은 성의가 필요하거든요^^
아무리 간단한 내용이라도 너무너무 고마운 성의가 담겨있다고 봅니다. 그죠...???
댓글
2005.12.15 17:31:08 (*.102.249.231)
카라
쪼금...찔리는듯한... 마음이네요...ㅎㅎ
그래두 열심히..먼가를 남겨보고자... 하는데두~
그냥 갈때가..더 많은것 같아요..

항상 좋은 글과 영상을 보면서 감사하다는
생각은 하는데..생각에만 그쳐서는 안되겠지요..
사실 그다지 어련것두 아닌데...

좀 못쓰면 어때요...ㅎㅎ
감사의 뜻만 전달되고.. 안부정도만 되도...
좋은 글들을 남기시느라 애쓰시는분들께..
한결..힘이 또는 위안이 될수 있을것이라..
믿으며..잘 못쓰는 글이지만
그래두 꿋꿋하게... 가끔 남기고 갑니다...ㅎㅎ

계속 되는 추운 날씨에...
모두 건강 유의 하시구요...^^*
댓글
2005.12.15 19:02:54 (*.249.198.217)
그리고...나
언덕위의 하얀 집

사제 서품식
성인들과 천사들의 이름을 부르며......새로 탄생하는 사제를 보호와 도움을 청하며........엎드려 사제의 길을 다짐하는........

내가 사랑 했던 사람의 모습만 보고 있었다.
댓글
2005.12.15 19:20:54 (*.84.79.135)
Jango
카라님 우린 구면이죠^^
약효가 참 빠릅니다. 약효도 여간 센 약효가 아니군요.
우리 주인장께서 특급으로 전보를 치신 모양입니다. ㅎㅎㅎ 넘 반갑네요.
말씀대로 글만보고 그냥 지나칠때가 많습니다. 싫은 산머루도 그에 대해선 공범이걸랑요.
우리 세대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거히 모두 비슷하답니다.
때론 어떤 글을 써야 할찌 걱정도 되고 쓰다보면 글자가 틀리는 경우도 있답니다.
너무 신경쓰면 잼 없어요.
흔적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추운 날씨에 건강유의 하시길.....
댓글
2005.12.15 19:27:07 (*.84.79.135)
Jango
그리고 나님!
처음 뵙는것 같습니다.
사실 산머루는 다른분의 게시물에서 그리고 나님을 뵐때마다
어떻게 한번 뫼시나 하고 생갇 해봤답니다.
언덕위 하얀집의 음악을 유난히 올리고 싶었었는데 아마 "그리고 나님"을
모시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두고 두고 님의 소중한 흔적을 잊지 않겠습니다.
대단히 고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공지 우리 홈 게시판 사용 방법 file
오작교
2022-04-26 11468
공지 카페 등에서 퍼온글의 이미지 등을 끊김이 없이 올리는 방법 file
오작교
2010-07-18 64083
공지 이 방은 고운초롱님께서 관리하시는 곳입니다. 18
오작교
2007-06-19 64701
2110 군대간 아들과 엄마의 엽기 편지 (펌글) 12
초코
2006-09-07 837
2109 이 가을엔 하나의 추억을 만들고 싶다. 2
붕어빵
2005-10-14 837
2108 바람 저편에 서면..... 15
尹敏淑
2008-10-13 836
2107 사람 풍경 1
붕어빵
2005-08-18 836
2106 어머님께 드리는 노래.. 9
은하수
2009-05-07 835
2105 가을 비 내리는 날... 9
은하수
2008-11-15 835
2104 울 님께 이쁜초롱이 추카추카 받고시포~욤~ㅎ 14
고운초롱
2007-03-15 835
2103 쌍둥이 눈사람 4
달마
2008-08-07 834
2102 요그는 울 송년회밤 임시 접수처 입니당~^^..~ 24
고운초롱
2007-11-26 834
♡♡댓글달면 10가지 좋은점이 있다나...!!!♡♡ (수정) 11
Jango
2005-12-15 834
2100 "내 마음의 향기"~~ 7
Jango
2005-10-20 834
2099 집착만은 놓아야 한다 11
장길산
2009-11-02 833
2098 ♬♪^ `인생을 건 일` 이라는 기? 5
코^ 주부
2009-09-28 832
2097 ♣ 찻잔에 고이는 그대의 향기 / 이재현 2
niyee
2009-04-18 832
2096 절제된 아름다움 15
尹敏淑
2009-03-06 832
2095 싱그런 아침~이케 이쁜초롱이가 사랑 전합니다.욤~^^..~ 12
고운초롱
2007-07-02 832
2094 오늘 쉰이 되었다 12
오작교
2007-03-09 832
2093 빈 손의 의미 / 정호승 9
an
2006-02-24 832
2092 ♣ 고독에 대하여 -詩 김설하 1
niyee
2009-12-19 831
2091 머물어 아픈 사랑 5
하늘정원
2006-08-27 8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