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철 지붕은 낡아 여기저기서 비가 샐것만 같기도 하지만 그래도 힘찬 소리로
                                           연방 돌아 갈 것만 같은 그림같은 작은 방앗간...
                                           아직도 저렇게 오래된 방앗간이 꿋꿋하게 서 있는 것을 보고 난 너무 반가웠다.

                                           어린시절 우리마을은  섬진강 상류인 요천수에서 마을로 들어온 물을 이용하여
                                           물레방앗간이 있었다. 지금의 발동기나 전기를 이용한 동력에 비하면 어림도 없
                                           이 힘이 약하여 쌀 3-4가마 찧으려면 한나절은 기다리고 했었지만 힘차게 돌아
                                           가는 피댓줄 소리나 벼가 깨끗이 떨어져 내려가라고 가끔 방앗간 주인 아저씨가
                                           나무 망치로 벼가 쌓였던 깔대기 모양의 아주 큰 나무 통을 "쾅~ 쾅~"하고 두드
                                           리는 소리는 가슴이 확 트이는 듯한 시원함을 느끼게 했고,

                                           거름으로 사용 할 왕겨를 멱사리에 퍼담아 리어카를 이용하여 집으로 실어 나르
                                           고 쌀이 도정이 되는 순 간 기다리면서 왕겨를 물레 방아 아래 쏟아져 내리는 물
                                           에 떠내려 보내며 조그만 배를 띄우듯 좋아하기도 하고, 가늘게 깎여서 떨어지
                                           는 죽겨를 쇠죽을 끓이거나 돼지밥을 주는데 사용 하려고 가마니에 담았고.
                                           방앗간이 쉬는 날에는  방앗간 밖 왕겨가 떨어졌던 곳에서 참새 떼들이 옹기 종
                                           기 앉아서 싸라기를 찾아 쪼아 먹으며 즐거운 노래를 부르곤 했었다.

                                           또한 요즘처럼 추운 겨울이면 농수로의 물이 얼어붙어 물레방아를 돌릴 수 없게
                                           되면 장대를 이용하여 얼음을 깨면서 방앗간 주인이 해야 할 일을 도와주기도 했
                                           다.

                                           여름이면 보리방아나 밀가루 방아도 찧고 설날이 가까워지면 온 동네 사람들이
                                           3-4일동안 순서를 기다리며 가래떡을 빼느라 방앗간에서는 온 종일 수증기가 피
                                           어 오르고 했었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쌀을 모두 도정하고 나서 햅쌀을 가마
                                           니에 받을 때 풍겨 올라오는 쌀의 향기가 어쩌면 그렇게 향긋하고 좋았는지...
                                           요즘엔 한 사람이 하루 평균 두 공기 정도밖에 쌀을 소비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쌀
                                           은 우 리들에게 가장 소중한 식량이고, 방앗간에 가면 언제나 신이 나고 즐거움을
                                           안겨주는 것만은 틀림 없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