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효능 및 사용부위>
clematoside A, B, C, hederagenin.
이뇨, 진통, 통풍, 류머티즘, 신경통에 사용

<기타>
낙엽활엽 만목, 길이 2m로서 으아리꽃 뿌리를
한방에선 '위령선'이라고 부르며 단방약으로
자주 오줌이 마려우며 잦은 신경통에 다려 먹으면
효과가 아주 좋다


★유행성 간염
위령선을 약한 불에 말려 부드럽게 가루 낸 것 8~12그램을 달걀 한 개와 섞어서 기름에 살짝 볶아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밥 먹고 나서 먹는다. 위령선은 간에 있는 열을 내리고 염증을 없앤다.


★신경통


위령선을 잘게 썰어 그릇에 담고

술을 잠기도록 부어서 6~7일 동안 두었다가 말린 다음,

부드럽게 가루 내어 밀가루 풀로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6~8그램씩 하루 두세 번 밥 먹고 나서 먹는다.

위령선은 강한 진통작용과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통 치료에 매우 좋은 약초이다.



★생선 뼈가 목에 걸렸을 때
생선 뼈가 인후에 걸려 넘어가지 않을 때 쓴다. 위령선 50~90그램을 진하게 달여서 설탕 30그램을 넣어 녹이고 소금을 약간 넣어 하루 4~6번 먹는다. 사흘 동안 먹는다. 이삼 일 먹는 동안에 통증이 없어지고 생선 가시가 녹아서 없어진다. 위령선은 딱딱한 것을 물렁물렁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위령선으로 만성인후염 고치기
인후염은 목 안 뒷벽에 있는 점막을 중심으로 하여 생긴 만성적인 염증이다. 급성인후염이나 감기를 앓을 때, 갖가지 콧병, 부비강염, 만성편도염 등으로 코가 막혀서 입으로 숨을 쉬거나 고름이 목 안에 흘러 내려 점막을 자극할 때 생긴다. 심한 온도 변화, 먼지, 가스, 마른 공기, 술, 담배 등의 자극으로도 생길 수 있으며 심장, 폐, 간, 콩팥 등의 질환으로 인하여 정맥혈관으로 피가 몰릴 때에도 생길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인후염에는 위령선 잎을 짓찧어 즙을 낸 다음 4~5센티미터 길이의 천을 심지 모양으로 만들어 즙을 적셔서 콧구멍 속에 깊이 넣는다. 심지를 콧구멍에 넣으면 눈물을 흘리고 재채기가 나는데 약물로 인한 반응이므로 달리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 10~30일이면 90퍼센트 이상이 치유되거나 호전된다. 아니면 위령선 전초를 날것으로 80그램쯤을 물로 달여서 차처럼 자주 마셔도 된다. 말린 것은 40그램을 쓴다. 90퍼센트 이상이 낫거나 좋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