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초봄, 볼일이 있어 남쪽에 내려갔다가 저잣거리에서 우연히 아는 스님을 보았다. 만난 것이 아니라 본 것이다. 이 스님은 내가 불일암 시절부터 가까이 지낸 사이인데 몇 해 전 길상사를 거쳐 간 후로는 그 거처도, 소식도 전혀 들을 수 없었다. 내 마음 한구석에는 그 스님의 맑은 모습이 꽃향기처럼 지금도 남아 있다.

  나는 남의 차에 탄 채 지나가는 길이고, 그 스님은 길가에서 걸망을 메고 누군가를 기다리는 모습이었다. 순간 반가워서 차를 멈추게 했다가 내리지 않고 그대로 지나쳤다. 자신의 거처를 알리지 않고 호젓이 지내고자 하는 수행자를 불쑥 만나는 것은 아무래도 폐가 될 것 같아서였다.

  입장을 바꾸어 생각하면 해답은 바로 나온다. 누군가 내 거처의 주변에서 나를 보고 아는 체를 한다면, 나 또한 당황하면서 결코 반가운 감정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길가에서 있었지만 예전에 지녔던 맑은 모습 그대로여서 내심으로 반가웠다.

  이런 내 태도를 두고 매정하다고 탓할 사람들이 더러 있겠지만 출세간의 맑은 업을 익히는 처지에서 보면 수긍이 갈 것이다. 못 본 채 그 자리를 스쳐 가는 편이 갑자기 마주쳐 저쪽을 어색하게 하고 부담스럽게 하는 것보다는 나을 거라는 생각이다.

  혼자서 외떨어져 살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공통적인 그런 벽이 있다.

  1993년 10월 그 스님이 태백산 각화사를 떠나면서 내게 보내온 아메리카 인디언의 지혜를 다룬 <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라는 책을 나는 지금도 서가에 지니고 있다. 그 스님이 연필로 밑줄을 그어 가면 읽은 자취가 책장에 배어 있다.

  그 스님의 거처를 알 수 있다면 보내 주고 싶은, 내가 최근에 감명 깊게 읽은 책이 있다. 오랜만에 책다운 책을 읽었다. 한길사에서 펴낸 리영희 씨의 <대화>.

  이 책은 대화 형식으로 된 그의 인생 회고록이며 또한 자서전이다. 우리가 일찍이 겪었던 무지막지하고 야만적인 지난 세월을 거쳐 오면서 투철한 세계인식 아래 ㄹ자기를 지켜 낸 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을 담은 우리 시대의 뛰어난 기록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 지식인의 삶 자체가 바로 이 땅의 어두운 현대사라는 느낌이 들었다.

  50년대 중엽부터 언론인과 대학교수, 사회비평가와 국제문제 전문가로 활동했던 리영희 씨는 그의 삶을 이끌어 준 근본이념으로 ‘자유’와 ‘책임’을 들고 있다. 진정한 지식인은 본질적으로 자유인이기 때문에 자기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 결정에 대해서 책임이 따를 뿐 아니라 자신이 몸담아 사는 사회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오랜만에 책다운 책을 읽었다. 이런 책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널리 읽혔으면 좋겠다. 그가 40년 동안 온갖 고통을 무릅쓰고 글을 써 온 목적은 한 사람의 소유물일 수 없는 ‘진실’을 이웃과 나누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내가 이 책을 권하는 이유도 우리 시대의 진실을 함께 공유하기 위해서다. 좋은 책이다.

글출처 : 아름다운 마무리(법정스님 : 문학의 숲)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