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 그거 얼마예요.
절망과 희망은 일란성 쌍둥이다.
언제나 함께 붙어 있다.
우리가 어느쪽을 보느냐에 따라서 인생은
희망이 되기도 하고 절망이 되기도 한다.
어떤 비참한 역경속에서도
희망의 비상구는 반드시 있다.
인간이 위대한 것은,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는 것.
인간이 위대한 것은,
눈물을 웃음으로 뒤집어버릴 수 있다는 것.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냄새가 향기가 되기도 하고
향기가 냄새가 되기도 한다.
- 최윤희의 <행복, 그거 얼마예요>中 중에서 -
‘행복 전도사’는 왜 죽음을 택했을까
최씨의 인생 역정은 충분히 '긍정적'이었다.
평범한 가정주부였던 최씨는 38살이던 1985년
1330대1의 경쟁률을 뚫고
현대그룹 주부 공채에 합격, 광고 회사 카피라이터로 변신했다.
22살에 만난 남편의 사업 실패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시작한 사회생활이었다.
그렇게 시작한 사회생활은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톡톡 튀는 젊은 사람들이 넘쳐나는 광고 회사에서, 그것도 남녀 차별이 심한 시절에,
마흔 살 코앞의 아줌마는 울기도 참 많이 울었지만 현대방송 홍보국장으로 영전했다.
최씨는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남편이 사업에 실패하지 않았다면
그냥 전업주부로 살았을 것"이라면서 "사업 실패로 힘들었지만 사회생활을 하게 해준
남편이 지금은 너무 감사해서 매일매일 표창장을 준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 쉰둘의 나이에 사표를 던졌다. 자신이 나가면 젊은 친구 3명 정도는
더 일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서였다. 이어 대한민국 주부들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기 위해
에세이집 '행복, 그거 얼마예요'를 내놨다. 반응은 그야말로 폭발적이었다.
이화여대 교지 편집장 출신다운 글재주와 대한민국 아줌마의 입심으로 방송은 물론
대학, 기업, 군, 경찰 등 꼬리에 꼬리를 무는 강연 요청을 끌어냈다. 최씨가 강연이나
책에서 가장 강조했던 말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행복을 만들어 나가자."는 것이었다.
예쁘지 않은 외모 때문에 스스로를 "엉겅퀴, 씀바귀, 고들빼기 삼종 혼합인간"이라고
부르면서도 "못생긴 거, 가난한 거, 무식한 거는 죄가 아니다. 죄는 딱 한 가지다.
열심히 안 사는 죄"라고 잘라 말했다. 이때부터 그에게는 '행복 전도사',
'행복 디자이너'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다.
그런 그도 2년여의 투병생활 앞에서는 더 이상 행복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최씨는 유서에 "링거 주렁주렁 매달고 살고 싶지는 않았다.…
700가지 통증에 시달려 본 분이라면 저의 마음을 조금은 이해해 주시리라 생각했다."고 적었다.
말없이 담배 피워 무는 우수에 찬 모습에 반해 억지로 졸라서 결혼했다던
남편과의 동반자살에 대해서는 "저는 통증이 너무 심해 견딜 수 없고,
남편은 그런 저를 혼자 보낼 수 없고, 그래서 동반 떠남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떠나는 글...
저희는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작은 일에도 감사하고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살았습니다.
그런데 2년 전부터 여기저기 몸에서 경계경보가 울렸습니다.
능력에 비해서 너무 많은 일을 하다보니 밧데리가 방전된거래요.
2년동안 입원 퇴원을 반복하면서 많이 지쳤습니다.
그래도 감사하고 희망을 붙잡으려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추석 전주 폐에 물이 찼다는 의사의 선고.
숨쉬기가 힘들어 응급실에 실려갔고 또한번의 절망적인 선고.
그리고 또다시 이번엔 심장에 이상이 생겼어요.
더 이상 입원해서 링거 주렁주렁 매달고 살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혼자 떠나려고 해남 땅끝마을 가서 수면제를 먹었는데
남편이 119신고, 추적해서 찾아왔습니다.
저는 통증이 너무 심해서 견딜 수가 없고 남편은 그런 저를
혼자 보낼 수는 없고, 그래서 동반 떠남을 하게 되었습니다.
호텔에는 정말 죄송합니다. 용서 또 용서를 구합니다.
너무 착한 남편, 미안하고 또 미안할 뿐입니다.
그동안 저를 신뢰해주고 사랑해주신 많은 분들께
죄송 또 죄송합니다. 그러나 700가지 통증에 시달려본 분이라면
저의 마음을 조금은 이해해주시라 생각합니다.
모든분들께 다시한번 죄송합니다.
2010.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