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누구나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습니다.

글 수 4,852

 

* 조선시대 쌍벽을 이루는 풍속화가 - 김홍도와 신윤복의 실제 삶은 어떠했을까?

사제지간이자 연인으로 그려지는 '바람의 화원'과는 달리, 실제 두 사람이 교류한 흔적은 역사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모두 화원 가문 출신으로 천부적인 소질을 타고났음에도 불구하고, 김홍도는, 정조의 총애를 받았던 반면, 신윤복은, 당대 실력을 인정받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이고, 역사적 기록도 찾아보기 힘들다.
단원 김홍도는, 1745년 김해 김씨 김진창의 증손으로 양반가에서 태어났다. 외가가 대대로 화원을 배출한 미술가 집안이었기에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났고, 일곱살에 도화서 김응환의 제자가 됐다. 김응환은 당시 유명한 문인 화가인 강세황에게 김홍도를 소개했으며, 도화서에 정식으로 들어간 김홍도1771년 왕세손인 이산의 초상화를 그릴 만큼 화원으로 재능을 인정받았다. 1776년 영조에 이어 이산이 정조로 보위에 오르자, 김홍도는 규장각도를 바쳤고, 1781년, 정조의 초상화를 그렸다. 정조는 "그림과 관계된 일이면 모두 홍도에게 하게 하라"라고 할 정도로 김홍도를 총애했다. 김홍도는 성품 또한, '군선도'를 그린 것처럼 호방하고 신선과 같은 풍류를 즐기며 살았다고 한다. 조희룡이 쓴 '호산외사'에 따르면 김홍도는, 말년 너무 가난해 조석으로 끼니조차 잇기 어려웠지만 시장에서 본 매화를 보고 사고 싶어, 자기 그림을 3000냥에 팔아 2000냥으로 매화를 샀으며, 나머지 돈으로 지인을 초대해 술잔치를 벌였다. 김홍도는 김응환과 함께 1788년 금강산 산수화를 그린 후, 1789년 일본 지도를 그려오라는 어명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1789년 김응환이 부산에서 병으로 죽자, 홀로 대마도로 가서 일본의 지도를 모사해 돌아왔다. 1790년에는 사도세자를 위해 지은 사찰인, 용주사 대웅전에 삼세여래후불탱화를 그렸으며 1795년 충청도 연풍 현감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김홍도는 소금 장수로 부를 축적한 거상 김현태에게 그림을 그려주는 대신, 경제적 지원을 받아 활발히 그림 활동을 할 수 있었지만 말년에 생활이 어려웠다. 1805년 병으로 위독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사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신윤복은, 화원 가문인 신한평의 장남으로 1758년 태어났다. 도화서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에 이르렀으나 속화(俗畵)를 즐겨 그려, 후에, 쫓겨났다는 이야기만 전해질 뿐, 개인적인 생애와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무하다. 다만, 권력과 조정의 그늘에서 벗어나 살았으며, 유교 사회로부터도 소외당했다고 보는 학자들도 많다. 신윤복은 기생과 한량, 별감이나 포졸 등 하급 잡직 관료들의 모습을 그렸으며 봉건 사회와의 갈등 속에서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고집했고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찬문(贊文)을 담아 감각적인 글솜씨도 발휘했다. '기방무사' '월하정인' '혜원전신도' 등이 대표작이며 그림 속에 자주 자신을 등장시켰다는 학설도 있다. 그림 인물 중, 주변 모습을 물끄러미 쳐다보는 이가 바로 신윤복 자신이며, 이는 장난기 섞인 에로티시즘이자 세상을 관조하는 풍자적인 의미라고 학자들은 주장한다. '처네를 쓴 여인'이 1829년 그린 작품이라, 19세기 초까지 활동한 것으로 짐작된다 추가적으로 신윤복의 작품에 대해서 소개하여 보면, 양반과 기녀/ 남녀의 애정표현의 풍속화를 주로 그린 조선 시대 대표화가로 대표되는 신윤복작품들은, 섬세한 선 표현과 그 당시 문란하다는 이유로, 잘 사용되지 않았던 화려한 색을 주로 사용하여 선정적이면서 은근한 노골적 표현이 돋보입니다. 성적인 남녀의 표현이 전부가 아니라, 권력의 부조리, 윤리관에 대한 비판의식이 담긴 것을 볼 수있다. 미인도, 단오도를 봐도, 그가 표현하는 작품의 색깔을 느낄 수 있습니다.
미인도
조선시대의 미인상은, 오늘날의 미인상과는 많이 다르죠~! 얼굴에 볼살이 통통하게 올라와있고 작은 입술에 가는 눈매를 가진 단조로운 그림이지만, 노리개를 만지는 손이며, 살짝 고개를 숙인 얼굴이며, 여성스러워 보이는 한복의 매무새까지, 신윤복의 뛰어난 묘사력을 대표해주는 작품이 될만합니다. 신윤복의 연인이였던 기생을 그렸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기다림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여인의 모습입니다. 뒤로 하고 있는 손에는 스님의 옷과 모자가 들려있는데, 그로봐서는 스님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신윤복의 그림은 배경의 물체 하나 하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주의깊게 살펴봐야 하는데, 드리워진 버드나무가 고개 돌린 여인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청금상련
벼슬 높은 양반들과 기생들의 모습입니다. 가야금을 연주하고 듣는 이들과 남녀가 연애를 즐기고 있는 남자등을 그린 작품, 남녀를 바라보며 한심 하다고 느끼는 듯한 표정의 남자는, 신윤복 자기 자신의 생각을 투영시켰다고 보고 있습니다. 신윤복의 작품에서 배경 물체들의 의미가 매우 중요한데, 남녀의 모습을 훔쳐보는 걸 좋아했나봅니다.
계변가화
개울가에서 빨래하는 여인들의 모습과 그 옆을 지나는 젊은 사내의 아슬아슬한 감정을 표현했습니다.
청루소일
방 안에 여유로운 양반이 앉아있고 마루에는 생황을 든 여인이 있으며 전모를 쓴 기생이 마당을 들어서고 있는, 적막한 오후 한 때의 기방 풍경을 그렸습니다.
주유청강
산 대신 강으로 나간 소풍이라 할 수 있는데, 수염이 긴 늙은 선비는 점잖게 뒷짐을 지고 있는데 비해, 젊은 선비는 기생의 마음을 끌기위해 뭔가 속삭이고 있습니다.
단오풍정
신윤복의 그림 중 가장 빼어난 수작 중 하나. 단오를 맞아 개울가에서 머리를 감고 몸을 씻는 여인들의 모습을 그렸습니다.
주사거배
이 그림의 술집은 선술집입니다. 왜 선술집인가? 선술집이란 이름은 지금도 드물게 쓰이고 있습니다. 대개 부담없이 '쌈직한 술집'이란 뜻인가 봅니다만, 그러나 의외로 정확한 뜻을 아는 사람은 드물니다. 선술집은 주당들이 모두 서서 술을 마시기 때문에 그렇게 부릅니다. 선술집에서는 백 잔을 마셔도, 꼭 서서 마셔야지, 앉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만약, 앉아서 마시는 사람이 있다면, 다른 술꾼 패거리가 "점잖은 여러 손님이 서서 마시는데, 버르장 머리 없다고, 그 발칙한 놈 끌어내라"고 시비를 걸었고, 이때문에 큰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답니다. 그래서 이 그림에서도 앉아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유곽쟁웅
기방 문 앞에서 대판 벌어진 싸움 모습입니다 장죽을 문 기생은 구경을 하고 붉은 옷을 입은 별감이 싸움을 말리고 있습니다.
야금모행
늦은 겨울 밤 기생이 동침을 원하는 양반을 따라 어디론가 가는 모습. 옛날이나 지금이나 남자들은 다 그렇고 그랬나보다..... 붉은 옷을 입은 별감이 양반과 기생의 성매매를 중개하고 있습니다.
연소답청
'연소답청'이란 젊은 선비들이 푸른 새싹을 밟는다는 뜻으로, 조선 후기의 양반들의 유한놀이 문화인 들놀이를 말합니다. 젊고 늙은 양반들이 종과 기생을 앞세워 풍취 좋은 산천을 찾아 즐기고 오는 모습을 섬세한 필치로 그렸습니다.
상춘야흥
진달래 꽃이 피기 시작한 어느 봄날, 양반가의 후원에서 벌어진 연회의 흥취를 그렸습니다. 음악에 흠뻑 취한 주빈의 표정이 이 날의 연회가 아주 성공적이었음을 말해줍니다.
정변야화
어스름 봄밤에 우물가에서 일어난 일을 그린것으로, 물을 길러 온 두 여인이 춘홍이 오른 듯, 보름달 아래서 무언가 이야기를 나누고, 돌담 뒤에서 음흉한 양반이 두 여인을 몰래 훔쳐보고 있습니다.
월야밀회
인적이 끊어진 골목길 보름달이 비치는 담 그늘 아래에서 한 남자가 여인을 위압적으로 감싸안고 있는지, 담모퉁이에 비켜서서 조마조마하게 이들을 지켜보는 여인은, 그림속의 긴장을 고조시킵니다.
무녀신무
조선 말기에 유행했던 민간의 굿 하는 장면을 그렸습니다. 붉은 옷을 입은 무녀와 여인들이 마당에 옹기종기 앉아 있고, 담 너머에서 한 사내가 여인들을 훔쳐 보고 있습니다.
삼추가연
어린 기생의 '머리를 얹어주는' 초야권을 사고 파는 장면 뚜쟁이라 할 수 있는 늙은 할미가 기생과 초야권을 사는, 사내의 중간에서 중개를 하고 있습니다.
쌍검대무 - 국보 135호
넓은 마당 한 가운데서 쌍검을 들고 춤을 추는 두 검녀의 아슬아슬한 대결을, 정방향 구도와 인물들의 회전 운동으로 그려 정중동의 운동감을 세련되게 표현했습니다.
이부탐춘
이부는 과부를 뜻하니 소복을 입은 여인이 마당에서 짝짓기 하는 개와 참새를 보고 웃음을 머금자, 몸종이 나무라듯 그 허벅지를 꼬집는 장면입니다. 해학적이면서도, 여필종부를 강요하는 남존여비 사상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를 읽을 수 있습니다
월하정인
달빛 아래에서 두 남녀가 안타까운 정을 나누는 장면을 숨막힐 듯 섬세한 필치로 묘사 했습니다. 안타까운 두 사람의 가슴이 두근거리는 소리까지 들리는 듯 합니다.
기방무사
기생이 외출했다가 돌아오고 있는데, 그 사이를 이용하여 왠 사내와 몸종이 방안에서 무슨 일을 벌이고 있었던 것인지..... 왼쪽 나무잎이 무성한걸 보니 계절은 더운 여름, 날이 더우니 기생도 전모를 썼겠지요만~~ 그런데 남자는, 왜? 한여름에 이불을 덮고 있을까? 방안의 두 남녀는 경황 없는 짓(?)을 하다가, 갑자기 주인기생이 찾아오자, 이불을 덮은 것은 아닐까? 자세히는,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전모를 쓴 여인
배경도 없는 단순한 화폭 위에 가늘고 뚜렷한 선묘로 그려낸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 조심스럽고 세심한 묘사를 통해 숨막히는 듯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킵니다. 감상들 잘 하셨는지요~ 아무튼, 요즘 인기리에 방영 중인 바람의 화원이 화제입니다. 사제지간으로, 더욱인 건, 13년의 터울을 극복하며 연정을 나누는 둘 사이가, 당시로는 파격적인 윤리?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허지만 앞서 말슴 드렸다시피, 그에 대한 자료는 어느 문헌에도 흔적을 찾지 못하니 안타깝습니다. 그러나,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 가슴에 고운 향기로 다가와 영원히 살아 있어 주기를 조바심하며, 드라마 연출진과 연기자들에게도 화이팅을 보냅니다~ * 수정; Ador.
댓글
2008.12.08 20:06:25 (*.204.44.7)
빈지게


Ador선배님!
정모때 뵙지 못해서 무척 아쉬웠습니다.
다음에는 꼭 뵙기를 바랍니다.

신윤복의 아름다운 작품들 잘 감상했습니다.
요즘에 관객 200만명을 넘어선 영화 미인도를
봤더니 거기에서는 신윤복이 남장으로 행세하는
여자로 묘사되더군요.
그래서 그림이 섬세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그전에는 신윤복이 남자로 알고 있었거든
요.ㅎㅎ

선배님!!
차가운 날씨에 감기 조심하시고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2008.12.08 20:31:40 (*.199.205.51)
청랑
소중한 자료 감사히 모셔 갈께요.. 늘 건안하시길요 ^^*
댓글
2008.12.09 20:28:25 (*.105.214.122)
동행
운봉의 산자락에서
한 잔 술 기울이며
선배님을 뵈올줄 알았는데
건강이 여의치 못하여 못오신다기에
아쉬움이 더했습니다.
추운 날씨에 몸 잘 추스리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빌겠습니다.
공지 우리 홈 게시판 사용 방법 file
오작교
76301   2022-04-26 2022-04-26 17:00
공지 테이블 매너, 어렵지 않아요 2 file
오작교
87040   2014-12-04 2021-02-04 13:44
공지 당국이 제시한 개인정보 유출 10가지 점검 사항 4 file
오작교
103698   2014-01-22 2021-02-04 13:58
공지 알아두면 유익한 생활 상식 7
오작교
104426   2013-06-27 2015-07-12 17:04
♧나는 배웠다♧ (3)
청풍명월
2010.01.25
조회 수 962
조회 수 1402
흥부와 놀부"....ㅎㅎㅎ (10)
데보라
2010.01.24
조회 수 1025
조회 수 973
조회 수 1146
목숨을바친사랑 (6)
청풍명월
2010.01.22
조회 수 1023
켄터키 후라이드 치킨’... (7)
데보라
2010.01.21
조회 수 1366
黃昏人生 배낭속에 (4)
청풍명월
2010.01.20
조회 수 1103
오작교님 생일 축하합니다 ^^* (40)
별빛사이
2010.01.19
조회 수 1402
조회 수 1287
겨울비... (5)
유지니
2010.01.18
조회 수 1307
사십대 오십대 (7)
동행
2010.01.16
조회 수 1327
자식 빚 보증 때문 ? (8)
청풍명월
2010.01.15
조회 수 1069
어느 남편의 하소연... (11)
데보라
2010.01.13
조회 수 1016
조회 수 1098
세상에~...대단하네요!..아찔~ (9)
데보라
2010.01.13
조회 수 1158
황혼의 설경 (1)
황혼의 신사
2010.01.12
조회 수 974
◈에베레스트 보다 높은 산?◈ (5)
오미숙
2010.01.10
조회 수 1280
사랑은 욕심쟁이 - 유필이 (1)
고등어
2010.01.08
조회 수 980
돈이냐 사랑이냐 (4)
청풍명월
2010.01.08
조회 수 1383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