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사람들 - 건강에 관한 글을 올려주세요

글 수 554

                                                                    

암 박사 박재갑 교수가 들려주는

 

 

‘똥 건강법’

 

 

 

자장면 색은 위장관 출혈 의심해야

 

 

뒤끝 없이 한덩어리로 떨어지는 ‘바나나형 황금변’이 최고

건강하면 똥 냄새 고약하지 않아

채식 많이 하면 배변 양 많아져

굵은 똥은 대장이 건강하다는 증거

변의(便意)만 느끼고 똥 안 나오면 직장 혹 의심해야

● 신생아 배내똥과 죽기 직전 똥은 닮은꼴

 

 

1948 충북 청주 출생 경기고·서울대 의대 졸업 미국 국립암연구소 연구원,    서울대 암연구소 소장, 국립 암센터 초대·2 원장 서울대 의대 교수, 한국  세포주연구재단 이사장

 

 

농사를 짓던 우리 민족에게 똥은 결코 지저분함의 대명사가 아니었다. ‘꿈에 똥을 밟으면 재수가 좋다’고 했던 이유도

똥을 더럽게 생각하지 않고 생산 을 상징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생산은 곧 돈으로 직결되는 것이기도 했다.

반면 보릿고개로 대표되던 가난을 빗대어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했다’고 했다.

 

가난하면 그만이지, 애꿎은 항문이 왜 찢어지는 걸까?

답은 의외로 간단했다.

 

 나물만 먹으면 똥 덩어리가 굵어지고 물기가 없이 딱딱해져요.

똥이 되직하게 나오니까 항문이 찢어지는 거죠.

 사람은 초식동물이 아니라서 섬유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거든요.

대장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다 똥으로 나오는 겁니다.

 

섬유질은 스펀지처럼 수분을 흡수하면서 부풀어 오르지요.  

섬유질이 똥의 양을 많게 하거든요.

 그러니 섬유질만 먹는다고 상상해보세요.”

 식이섬유는 몸 안에서 소화되지 않고

몸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대변의 발효를 돕고

해로운 성분까지 함께 끌고 나가는 청소부와 같다.

변을 부드럽게 해서 배변을 도와주는 식이섬유에는

과일, 해조류, 콩류가 있고, 변의 양을 늘려

변비 예방에 효과가 있는 식이섬유로는

양상추, 오이, 브로콜리, 양배추 등이 꼽힌다.

식이섬유를 먹을 땐 평소보다 물을 더

많이 먹어야 배변에 도움이 된다.

 

 

삶은 똥이다?

  서울대 의대 박재갑(朴在甲·60) 교수는

지난 30년간 6000여 회 수술을 했는데,

대장암 수술만 5000회 이상 집도한 대장항문암의 최고 권위자다.

 

대장이 전공이므로 그에게 변(便)은

하루의 시작이자 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 교수는 “삶이 똥을 닮았다”면서

“입으로 들어간 건 반드시 똥으로 내놓아야 하듯이

삶 역시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고 했다.

 

 “똥을 보면 그 사람의 섭생을 알 수 있죠.

 

 똥이 ‘굵다’ ‘가늘다’ ‘되직하다’ ‘묽다’는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잘사는 나라일수록 배변량이 적어요.

 배변량이 식이섬유 섭취량과 비례하거든요.

 가공식품을 많이 먹고 채식을 적게 하면

섬유질이 부족해서 똥을 적게 눠요.

 

 육류만 먹으면 똥의 볼륨이 작아져요.

대장은 영양가 높은 음식물이 지나가면 천천히 내려 보내요.

흡수할 것이 많거든요.

 

영국에서 실험을 했어요.

육류 위주로 먹게 했더니 하루에 똥을 100g 정도 눴답니다.

그런데 채식 위주로 바꾸니까 배변량이

육식 먹을 때보다 배가 늘었다고 해요.”

건강한 성인은 변의 양이 하루 200g 이하. 한 컵 정도다.

의학적으로 ‘변비’란 배변량이 하루 35g 이하,

일주일에 2번 이하 화장실에 가는 상태이고,

 

‘설사’는 배변량이 하루 300g 이상,

하루에 4번 이상 화장실에 가는 경우를 말한다.

 배변량은 국민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육식을 즐기는 서유럽의 경우 100g밖에 안 되지만

파푸아뉴기니 국민은 하루 배변량이 무려 1kg에 달한다고 한다.

 

 채식 위주의 문화권에서는 배변량이 많고,

육식 위주의 문화권에서는 섬유질 섭취의 부족으로

 배변량이 적은 편인데, 파푸아뉴기니 국민은

주식으로 채식만 고집하기 때문에

배변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1950년대 미국인이 ‘한국에 와서 놀란 것 중 하나가

바로 배변량이었다’는 소문에는 근거가 있다.

 가난과 기근으로 나물만 먹던 그 시절

한국인의 배변량은 지금의 3배쯤 됐다고 한다.

 

19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인이 동남아시아인, 일본인과 함께

치질 발병률 세계 1위로 꼽혔는데 이 또한

섬유성 식품을 많이 먹어 배변량이 많았던 탓이라고..

 

 

똥 색깔 변하면 상황 심각

 

입에서 항문까지의 길이는 약 9m.

어떤 음식이든 1박2일이면 변이 되어 배출된다.  

 

▼ 자신의 똥을 관찰하는 사람이 그리 많을지 의문입니다.

“양변기 쓰고 나서 똥 안 보는 사람이 없을걸요.

조금이라도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은 똥에 피가 묻었는지,

똥 색깔이 달라졌는지 무의식적으로 보게 돼 있어요.

 

환자들이 병원에 와서 똥 얘기하는 걸 들어보면 놀랄 겁니다.

  ‘양변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참 이상한 취미가 생겼구나’ 싶을 정도입니다(웃음).”

 

 ▼ 건강에 이상이 생긴다고 대변의 색깔이 바로 달라지진 않잖아요.

“그렇죠. 대변의 색깔이 달라질 정도라면 사태가 심각한 거죠.

대부분의 사람이 색깔이 달라지기 전에 병원을 찾아와요.

 

 똥에 피가 섞이면 아차 싶은 거죠.

피가 붉으냐 검으냐에 따라 달라요.

 붉은 피가 섞여 나오면 항문이나 직장, 대장에

출혈이 있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대장이 워낙 기니까

피가 항문까지 내려오면서 똥에 섞여 버리면

중간 중간 검은색을 띠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데 검은 똥은 선지를 먹어도 나올 수 있거든요.

출혈이 없어도 적혈구 내에

  철 성분이 산화되면서 똥이 검어지기도 합니다.

요즘은 너도나도 와인을 즐겨 마시는 분위기인데,

적포도주를 많이 마셔도 검은 똥을 눌 수 있어요.

  

만일 자장면 색깔의 똥을 눴다면 문제가 달라요.

흑변이 나오면 상부 위장관의 출혈을 의심해봐야 해요.

 

또 혈액이 위장관을 지나면서

위산이나 장내 세균에 의해 흑변으로 바뀔 수도 있고요.

 방치하면 소화성 궤양 혹은 위암의 진단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빈혈을 치료하려고 철분제를 복용했거나

감초 식품을 먹어도 흑변이 나올 수 있어요.”

 단, 박 교수는 “(똥의)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거린다면 문제가 다르다”고 설명했다.

 

“건강하면 똥 냄새가 고약하지 않아요.

똥 냄새는 자연의 냄새잖아요.

 닭똥 특유의 냄새가 있듯이 인분에도 특이한 냄새가 있어요.

하지만 기분이 나쁠 정도는 아닙니다.

 

(똥 냄새는) 대장 내에 있는 세균 때문에 나요.

 똥 냄새가 심한 사람은 장 안에 세균이 득실거리고 있는 겁니다.

 대장에 요구르트에 들어 있는 유산균이나 올리고당 같은

좋은 균이 많으면 냄새가 심할 리 없어요.” 시원하게 한 덩어리로

그는 “점심에 청국장을 먹었다”면서

청국장과 변에 대해 재미있는 얘기를 들려줬다.

 

“우리나라 사람들, 청국장 좋아하거든요.

콩을 발효시켜 만든 게 청국장 아닙니까.

콩을 발효시킬 때 냄새가 얼마나 고약합니까.

서양인은 이 냄새를 ‘똥 냄새 같다’고 하잖아요.

 똥 냄새와 청국장 냄새가 이웃사촌쯤 됩니다.

똥이든 청국장이든 세균이 발효돼 냄새가 나거든요.

 좋은 세균은 발효되고, 나쁜 세균은 부패하잖아요.  

대장 내에 좋은 세균이 많아야 냄새 덜 나는 똥을 누게 되는 거죠.”

 

대장에는 500종이 넘는 세균이 살고 있다.

대장균은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해서

비타민 B, 비타민 K, 아미노산 등을 몸에 공급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배탈이 나거나 설사를 할 땐

몸에 이로운 세균보다 해로운 병원성 균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고 보면 된다.

 

 ▼ 대변의 색깔로 여러 질병을 의심할 수 있겠군요.“지나치게 옅은 갈색이면 적혈구가 파괴되는 자가면역 질환이나 간 질환을 의심해야 해요.

희거나 회색이라면 담도가 폐쇄됐을 수 있고요.

피와 고름이 섞인 설사를 한다면 대장이나 직장에

염증이 있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또 채식을 한 것도 아닌데 기름지고 양이 많으면

췌장염에 의한 흡수장애가 있을 수 있어요.

 똥에 코 같은 점액이 자꾸 묻어나오면 대장암을 의심해야 합니다.

 

 대장암을 만드는 세포가 점액질을 분비하거든요.”

 똥이 영어로는 ‘덩(dung)’이다. 발음이 비슷하지 않은가.

대변 볼 때 ‘똥’ 하고 튀는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는 속설이 있다 

 동양에서는 ‘쌀이 소화되고 남은 찌꺼기’라는 의미로

분(糞) 혹은 변(便)이라고 했다.

 

  변의 모양

 

▼ ‘똥’이라고 서슴없이 말하시네요.

“전 솔직히 똥이 더러운지 모르겠어요.

제 환자들이 모두 똥과 관련되잖아요.

저는 무조건 환자의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봐요.

대장암 수술 후에도 대장을 이어놓았는데

혹시 좁아지지 않았는지,

뭔가 만져지지 않는지 점검해야 하거든요.

 

그러니 매일 똥을 만지는 거죠.

손가락이 항문으로 8~10cm 들어가면

똥이 안 묻어나오는 사람이 없어요.

 전 똥을 만져도 마치 밀가루 반죽 만지는 기분입니다.

 제가 강의할 때 학생들에게 ‘똥’이라 말하면 다들 웃어요.

 외부 강연에서 ‘똥’이라고 하니까 ‘점잖지 못하다’고

언짢아하는 분도 있었죠.

방송에서도 ‘똥’이라고 했더니 주변에서 이상하게 보더라고요.”

 

박 교수는 “똥과 친해지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옛날 어른들이 ‘똥이 굵어야 잘산다’고 했는데 맞는 말이에요.

 건강한 사람의 똥은 바나나 모양이면서 굵고 황금색입니다.

 또 뒤끝을 남기지 않고 시원하게 한 덩어리로 떨어집니다.

 

몸이 안 좋거나 허약해지면 국수 가락처럼 흐물흐물하게 떨어져요.

 요즘 여성들, 다이어트를 너무 심하게 해서 빼빼 마른 똥을 눠요.

먹은 게 없으니 대장에서 똥이 뭉쳐질 리가 없겠지요.

 

또 폭식하고 폭음하면 대장에서 수분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무른 똥을 눕니다.

무른 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구리겠지요.

 

육류, 커피, 술이 주원인입니다.

 과음을 하면 알코올이 소장과 대장의 운동을 자극해서

설사를 일으켜요.”

 

 ▼ ‘니 똥 굵다’는 말이 ‘너 잘났다’는 말이 아니라

‘너 건강하다’는 뜻이군요.

“그렇죠. 똥이 굵은 건

장내에 변의 흐름을 막는 혹이 없다는 증거입니다.

 굵으면 나쁜 세균이 들어가도 희석이 잘 돼요.

 

 배변량이 많아야 비워내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빨리 비워내야 대장 안쪽 세포들이

똥 속의 발암물질과 접촉할 시간이 적어져요.

 변비가 있으면 똥 속 발암물질이

대장의 점막과 접촉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겠죠.

 똥은 무조건 몸에 가지고 있지 말아야 해요.

규칙적인 배변습관이 필요합니다.”

 

방귀 소리 크면 건강

건강한 사람의 대변은 굵기가 2cm, 길이는 10~15cm라고 한다.

 

 ▼ 태어날 때부터 변이 가는 사람도 있는데요.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면 변이 가늘어지죠.

 똥의 수분이 대장에서 흡수되면서 되직해지고 딱딱해지는데,

 자주 누면 변이 묽은 상태로 나오기 때문에 굵어질 수 없어요.

  사람의 항문은 동그랗게 벌어져 있는 게 아닙니다.

 

굵은 똥이 밀고 나오니까 항문이 넓어지는 거죠.

그런데 변의(便意)가 느껴져 힘을 줬는데

가늘게 나오는 건 문제가 있어요.  

대장에 혹이 생겼을 수 있거든요.

똥은 대장 속 통로의 상태에 따라 굵기가 달라질 수 있어요. 

혹 때문에 대장 통로가 좁아졌다면 똥이 가늘어지겠죠.

몇 달간 계속 가늘게 나온다면 검사해봐야 합니다.”

 

 대장에 문제가 생기면 방귀 냄새부터 고약해진다고 하던데요.

“뭘 먹었는지에 따라 조금씩 달라요.

대장균이 아직까지 소화되지 않고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섬유질)의 일부와 단백질 등을

발효시키면서 악취가 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게 방귀입니다.

 

 대장 내에는 질소 산소 등 400여 종의 성분이 있거든요.

변비 때문에 대장이 꽉 막혀 있으면 냄새가 더 고약해질 수 있겠죠.”

 

 ▼ 방귀 소리가 큰 사람이 건강하다는 말도 있습니다.

“직장과 항문이 건강한 사람이죠. 하지만 습관적인 경우가 더 많아요.

특히 여성들은 너무 참다가 소리가 커질 수 있죠(웃음).”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방귀를 13회 이내로 뀐다.

최고 25회까지 정상이라고 한다.

방귀는 질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따위로 구성돼 있어 무색무취다.

 하지만 음식물과 지방산 등의 분해물질인

암모니아가 대변과 방귀냄새를 만든다.

 대변의 냄새로 질병의 유무를 구별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결론이다.

 

 하지만 방귀를 너무 자주 뀌거나 너무 오래 참아

복통이 심해진다면 이는 가스증후군의 일종이다.

 유제품이나 양파 당근 바나나 셀러리 등은 방귀의 횟수를 늘리고,

쌀 생선 토마토 등은 방귀의 횟수를 줄인다고 한다.

 

박 교수는

 

“변비에서 설사로, 다시 변비로 장기간 반복된다면

건강의 적신호”라고 귀띔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이라고 해요.

기름진 육류를 먹고 폭음을 하니까 과민성 대장증후군이 더 악화되죠.

 변비-설사의 반복이 심하면 대장 어딘가에 혹이 있지 않나

의심해봐야 합니다.

 대장에 혹이 있으면 똥이 일시적으로 못 내려가요.

 

똥이 안에서 썩으면 안 되니 설사를 통해 내보내는 겁니다.

토끼 똥처럼 힘을 줘야 겨우 나오던 것이 갑자기 폭격하듯

물똥으로 나오는 거죠. 요즘 대장에 혹 있는 사람이 참 많아요.”

 

 평소와 다른 변은 병과 관련이 있다는 얘기다.

 “똥을 누고 싶어 화장실에 갔는데 안 나오는 경우가 있어요.

 아무리 힘을 줘도 안 나오면 문제가 있는 거죠.  

항문에는 외괄약근과 내괄약근이 있습니다.

 내괄약근은 무의식 상태에서도 오므리고 있는,

지치지 않는 근육입니다.

위쪽에서 똥이 내려오면 자동으로 열립니다.

 

직장은 항문 쪽으로 내려오는 것이 방귀인지 설사인지 느낄 수 있어요.

 그런데 직장 쪽에 혹이 생기면 뭔가 묵직한 게 자꾸 느껴져요.

 

꼭 똥 덩어리 같단 말이에요. 그러면 자꾸 변의를 느끼는 거죠.

그런데 (화장실에) 막상 가면 안 나와요.

그 정도로 변의를 느낀다면 꽤 큰 혹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장암은 한 해에 1만3000여 명에게 발생하는 암이다.

전체 암의 11.2%로 발생률이 네 번째로 높은 암이다.

 남성과 여성의 발병 비율은 반반.똥물 먹으면 큰일 난다

 

 ▼ 대장에 종양이 생겨도 당장 느낌이 오진 않는 것으로 압니다.

“금방 표가 나질 않아요. 항문 쪽에 혹이 생기면 빨리 발견돼요.

  재수가 좋은 거죠. 똥에 붉은 피가 섞여 나오고

변의가 평소와 달라지거든요.

 하지만 대장의 초반부에 혹이 생기면 느낌이 거의 없어요.

 출혈이 있다 해도 항문까지 내려오면서 희석돼 혈변이 나오지 않아요.

대장은 길이가 1.5m나 되니까 다른 장기처럼 바쁘지 않아요.

 

 꽤 여유가 있어요.

작은 폴립(용종)에서 암까지 되는 데 5~10년 걸립니다.

 40세가 넘으면 5년에 한 번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라고 권하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평상시 똥과 변의를 잘 체크하면 80~90% 예방할 수 있어요.”

 

 ▼ ‘똥물 먹고 병 치료했다’는 옛날 얘기가 있는데, 사실인가요 .

“큰일 날 얘기입니다. 진짜 그렇게 한다면 복통이 일겠죠.

 똥은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해 밖으로 내보내는 것 아닙니까.

다양한 균이 섞여 있는데,

그게 입으로 들어간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에요.

  4분의 1은 대장균이지만

나머지는 식물의 가스와 함께 체외로 배설되는 노폐물입니다.

또한 똥에는 여러 가지 병원성 세균이 있어요.

 

(병원성 세균은) 고온에서 분해과정을 거쳐 숙성돼야 사멸됩니다.

 퇴비(인분)가 되는 원리인 거죠. 안전하려면 1년 동안 숙성돼야 해요.”

 

후지타 고이치로가 쓴 ‘쾌변천국’에 이런 얘기가 나온다.

 똥은 사람의 몸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잉여물을

자연으로 되돌려주는 것이다.

 식물이 빛과 양분을 흡수해서 에너지를 만들고는

필요 없는 걸 배출하는 데 이것이 바로 산소다.

인간은 식물의 배설물인 산소와 함께

다른 영양분을 섭취하고 똥을 배출한다.

 이 똥은 거름이 되어 식물에 섭취된다.

 

사람과 똥과 지구는 한 몸이다.’

‘인간은 태어나서 새까만 똥을 누고,

죽기 전에도 새까만 똥을 눈다’고 하던데요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누는 태변은 까맣고 끈적끈적합니다.

 배내똥이라고 하죠. 며칠 지나면 노란색 똥이 나옵니다.

그러다 황색 똥으로 바뀌어요.”

 

박 교수는

“신생아도 성인처럼 변 색깔이 몸 상태를 나타낸다”고 했다.

 “신생아의 똥에 코 같은 것이 섞여 있다면 장염일 가능성이 커요.

피가 섞여 있다면 세균성 장염이나 장출혈을 의심해야 하고요.

또 순두부처럼 흰 망울이 섞여 나오는 걸 생똥

혹은 산똥이라고 하는데 분유의 유지방이 응고된 탓입니다.

 

염소 똥같이 딱딱한 똥을 누면 먹은 양이 부족하거나

섬유질이 부족하다는 신호예요.

옛날엔 쌀뜨물처럼 뿌연 똥을 누기도 했는데,

이는 콜레라에 걸릴 경우 나오는 똥입니다.

 흰색 똥을 누면 담도가 막힌 경우이고요.” 잘 비워야 오래 산다

 박 교수에 따르면 죽기 바로 전 똥의 색깔이

신생아의 배내똥과 비슷한 경우가 종종 있다.

“죽을 사람이 잘 먹는 경우는 드물어요.

 

 어제 똥을 누고 오늘도 똥을 누다가 죽지는 않거든요.

지병이 악화됐든 숙환이든 며칠간 못 먹다 가요.

 사람이 일주일 이상 곡기를 끊으면

농축된 찌꺼기가 흡수돼서 색깔이 변합니다.

 항문까지 내려오면 새까맣게 타버리듯이 흑변이 되는 거죠.

 

 암 환자도 며칠씩 못 먹다가 가기 때문에 마찬가지입니다.”

 그로부터 똥 얘기를 듣다보니

입에서 항문까지가 하나로 연결된 통로이듯이

똥이 삶의시작이자 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몸에 백혈구가 적어지면 균 때문에 죽어요.

‘똥에 균이 많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입 속에 균이 많다는 건 잘 몰라요.

 침 속에는 똥보다 많은 균이 있어요.

단위당 수가 더 많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사랑의 표현으로 키스를 하지 않습니까.

키스를 하면서 침 속에 균이 많다는 생각을 하지는 않잖아요.

 똥은 그 사람의 섭생과 배변 습관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음식물 찌꺼기입니다.

 밥 따로 똥 따로 생각해선 안 됩니다.

 

 똥이 더럽고 구리다는 생각은 버려야 해요.

 평균수명이 늘어난 요즘은 은퇴하고 30년 이상 더 살아야 해요.

 오래 살려면 자신의 똥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요즘의 식습관에 비춰 대장내시경 한 번 안 해보고 오래 살기를 꿈꾸는 건 말이 안 되죠.

 

인간이 가장 쾌락을 느끼는 순간이 배설할 때가 아닌가 싶어요.

 

 오줌 눌 때,

 똥 눌 때,

 사정할 때

솔직히 얼마나 시원합니까. 다 같은 원리입니다.

  참다 배출하면 행복하기까지 하잖아요.

먹는 것만큼이나 비우는 것도 중요해요.

 잘 비워야 건강하게 오래 삽니다.”

 

 

                                                                                

                                                                                              
댓글
2012.09.18 21:29:33 (*.231.236.105)
여명

여러번 읽었답니다.

그래도  유익한 정보들 고맙습니다.

공지 우리 홈 게시판 사용 방법 3 file
오작교
17797   2022-04-26 2022-04-29 16:18
공지 건강을 위한 작은 Tip
오작교
52775   2011-05-25 2011-05-25 17:45
공지 카페 등에서 퍼온글의 이미지 등을 끊김이 없이 올리는 방법
오작교
53771   2010-07-18 2014-07-03 22:23
공지 이 공간을 열면서..... 2
오작교
55338   2010-06-04 2014-01-01 20:46
공지 간단히 스트레칭을 해봅시다(펌글) 6
오작교
54942   2009-02-17 2020-12-15 09:34
둥굴레차의 효능..... (1)
데보라
2013.01.04
조회 수 9572
조회 수 3407
독감 예방법
바람과해
2012.12.25
조회 수 3441
당뇨 이기는 양파 먹는비법 (1)
바람과해
2012.12.14
조회 수 3596
혀를 잘 딱으면~~ (3)
바람과해
2012.11.27
조회 수 3879
작지만 콩팥의 重要한 기능 (1)
바람과해
2012.11.20
조회 수 3577
결명자의 효능 (2)
바람과해
2012.11.15
조회 수 4486
조회 수 3577
내 몸을 살리는 세포 청소법 (1)
바람과해
2012.10.23
조회 수 3676
몸이 아플때 먹으면 좋은 음식 (4)
바람과해
2012.10.15
조회 수 3754
뒷짐 산책 요법 (4)
바람과해
2012.10.08
조회 수 4841
조회 수 4045
뽕나무를 알면 질병이 없어진다 (5)
바람과해
2012.10.04
조회 수 4586
건망증 없애는 6가지 방법 (6)
바람과해
2012.10.04
조회 수 3962
조회 수 3770
걸으면 뇌가 젊어진다 (3)
바람과해
2012.09.21
조회 수 3792
조회 수 4331
健康을 危脅하는 危險信號 10가지 (2)
바람과해
2012.09.16
조회 수 3326
병의원이용과 진료혜택 보기 (2)
파란장미
2012.09.13
조회 수 3586
손(手)의 역할 78가지 (1)
파란장미
2012.09.13
조회 수 3917
노화를 지연 시켜주는 음식 (1)
파란장미
2012.09.13
조회 수 3377
위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1)
파란장미
2012.09.13
조회 수 5720
조회 수 3427
조회 수 4223
혈액 순환에 독이되는 음식 (1)
바람과해
2012.08.23
조회 수 3817
자주 만지세요~ (7)
데보라
2012.08.10
조회 수 3746
오이의 효능 (4)
바람과해
2012.07.27
조회 수 8461
조화로운 인간관계 (2)
바람과해
2012.07.25
조회 수 3708
조회 수 3721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