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사상가 몽테뉴는 그의 저서「사색의 광장」
에서 " 인생은 평화와 행복만으로 살 수는 없으며,
괴로움이 필요하다. 이 괴로움을 두려워 하지 말고
슬퍼하지도 말라. 인생의 희망은 늘 괴로움 언덕길
그 너머에서 기다리고 있다." 고 했습니다.



한 알의 밀 알이 썩으면 많은 열매를 맺을것이요,
썩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있습니다.



흙속에 묻힌 씨앗은 무덤속 같이 어둠고 답답한
곳에서 껍질이 벗겨지고 몸둥이가 썩어드는 아픔을
겪습니다.



그러나 인고속에 생명의 씨눈을 뜨고 기다리면
어느날인가 대지위로 신생의 싹이 터올라 옵니다.



또 싹이 텃다고 해서 금방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는
것도 아닙니다. 성장의 아픔을 치러야 꽃이피고
열매가 맺는 것입니다.



한송이 국화가 피어나기 위해선 오랜동안의 시련이
따르는 준비가 필요하고, 이른 봄날 밤새워 우는



소쩍새와 같은 슬픔과 괴로움, 한 여름 천둥이 먹구름
속에서 우짓는 몸부림, 사신이 꽃가루 처럼 내리는



가을밤의 무서리, 그리고 밤잠을 이루지 못하는 오뇌
와 같은 쓰디쓰고  아프디아픈 고통을 넘기고서야
비로서 어느 청명한 가을 아침 한 송이 노오란 꽃이
진한 향기를 풍기며 피어나는 것입니다.



한 송이 국화는 여름의 피서를 즐기면서 우연히 꽃이
피어나는 것이 아니며. 생명체는 달콤한 설탕물이나
마시고 자라는 게 아닙니다.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것이 자연의 이법이 깨우쳐주는 교훈입니다.



우리 인간의 불행과 이별, 고독, 눈물, 절망,
실패, 좌절등은 극복하기만 하면 인생을 꽃피우는
영양소가 됩니다.
인간은 시련을 통해서 인격이 형성되고,
인생의 꽃은 시련뒤에 피어 나며,
인생의 열매는 비바람을 맞아가며 열려야 단맛이 들고.
위대한 탄생은
큰 시련을 극복하는 데서 싹트는 법이라고 했습니다.



이와 같이 우주 만물이 천리와 순리에 따르듯 인간도
우주질서에 순종하여 한계단 또 한계단 고난을
이기며 살아가노라면 폭풍우 후에 찬란 무지개가
서는 영광을 맞게 될것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