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 기  -
 

전통적으로 옹기는 양념단지, 쌀독, 젓독, 알배기, 동이, 방두리, 간장병, 식혜단지, 콩나물 시루, 질화로, 씨앗병, 앵병, 소줏고리, 촛병, 정화수독, 등잔, 연적, 술병, 장국, 자라병, 거름통, 불씨통, 재떨이, 담뱃대, 오지베개, 정화수독, 등잔, 연적, 술병, 장군, 자라병, 거름통, 불씨통, 재떨이, 담뱃대, 오지베개, 부항단지, 약초병, 옹장구, 업단지, 조상단지, 굴뚝, 약탕관 등으로 사용되었다.

 

항아리

항아리는 항(缸)으로도 불리워지는데 이 저장용 용기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비교적 큰 옹기를 일컫는다. 옹기장의 기술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써 이용되기도 하는 항아리 제작 기술은 얼마나 커다란 항아리를 보기좋게 짧은 시간에 만들어 내느냐에 따라 옹기장의 기술숙련도를 알아보기도 하였다.

 

동이

동이는 물이나 곡물 등을 보관하거나 이동하는데 사용되었던 생활용기이다. 

물두멍

물두멍은 부엌바닥에 묻거나 그렇지 않으면 구석에 세워두는 큰 물항아리와 짝을 이루면서 물을 보관하는 부엌의 주요 상비 용기이다.

확독

확독은 쌀과 보리 등의 곡식이나 양념 등을 갈거나 숭늉용 쌀뜨물을 내리는데 사용하는 그릇이다. 

시루

시루는 우리 전통적인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생활용기이다. 
 

생수항아리

생수항아리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그릇으로 특히 여인들이 우물에서 식수나 설거지물 등을 공급하기 위해 생수항아리를 머리에 이고 집으로 옮기는 그릇으로 사용되고 있다.

쌀독

쌀을 넣을 수 있는 독으로 옹기 쌀독에 쌀을 담으면 통풍이 잘 되기 때문에 스스로 적정한 습도를 유지할수 있어 쌀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오래도록 두고 먹을수 있다.

장군

장군은 몸체가 원통형(圓筒形)으로 되어 있어 아가리가 위로 가도록 바르게 놓을 수 없는 불안정(不安定)한 형태를 보이며, 측면 한쪽을 평평하게 만들어 세워 놓을 수 있게 한 특이한 형태를 보인다. 토기(土器)나 자기(磁器), 도기(陶器)에서도 이와 같은 장군이 만들어지는데 기형(器形)이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다.

이와 같이 옹기(甕器)로 만들어진 큰 기형(器形)의 장군은 주로 물이나 술 혹은 인분(人糞)을 넣어 지게에 올려 지고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평평한 측면 반대쪽에는 보주형(寶珠形) 손잡이가 있다. 진한 갈색유(褐色釉)를 전면에 발라 구웠으며, 손잡이 주변에는 포개구이한 흔적이 있다.

간장병

간장을 담는 그릇으로 술병 모양에 주구 꼭지가 달려있는 것으로 넓은 아가리에 입술은 떡 벌어져 있으며 전은 통전으로 되어 있다.

목은 어깨부터 위로 올라 가면서 나팔모양을 취하고 있는데 끝부분과 몸통이 접하는 곳에 주구꼭지를 달았으며 몸통은 어깨에서 곧바로 배부분을 남기지 않고 밑까지 둥굴이 모양새를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