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샘터

메마른 삶에 한 주걱 맑은 물이 되기를
  •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달을 그리려면 / 그 말이 내게로 왔다.

오작교 11807

0

1
  서양화에서 달을 그린다고 하면 붓으로 달의 모양을 확연하게 표현하겠지만, 동양화에서는 붓으로 직접 그리지 않는다. 달을 감싸고 있는 구름을 그림으로써 거기 달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달이 있는 자리만 보여줄 뿐! 주변의 구름만 부지런히 그려내면 어느 순간, 거기 달이 떠 있다. 이런 기법을 동양화에서는 ‘홍운탁월(烘雲托月)’이라고 한다.

   달을 그릴 때만이 아니라, 구름이나 안개를 그릴 때도 마찬가지다. 붓으로 구름이나 안개를 직접 그리기보다는 산과 산, 산과 나무 사이에 여백을 둠으로써, 그것이 곧 구름이 되고 안개가 되도록 한다.

   사찰 이름을 제목으로 한 어느 동양화를 보면, 사찰을 보이지 않고 무성한 숲으느 나서는 동자승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 숲 안에 사찰이 있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달을 그리지 않고도 달이 그려지도록 하는 것,
구름을 그리지 않고도 구름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
주변을 그림으로써 중심이 드러나게 하는 홍운탁월!
마치 표 내지 않고 무르익은 삶을 살 수 있는
고수의 기법 같기도 하다. 


   그러고 보니 문득 떠오르는 말이 있다. 세상에 빛이 존재하는 이유는 만물이 서로에게 헌신하는 것을 비춰주기 위한 것이라는 ‘소금’ 같은 말. 그러니 그 사람을 비추는 것이 곧 나를 비추는 것이고, 그 사람을 그리는 것이 곧 나를 그리는 것이다.

글출처 : 그 말이 내게로 왔다(김미라의 감성사전, 책읽는수요일)

 

download.jpg

 

공유스크랩
1
수혜안나 2022.12.20. 23:06

내가 바로 너인 것을요

나의 기쁨이 곧 너의 기쁨이요

나의 행복이 곧 너의 행복이니

 

내안에 모든 경계가 허물어져

No Boundary 상태일 때, 애써 구분짓지 않아도

그림처럼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드러나지 않을까요

 

참으로 멋진 글에 감동입니다

언제나 향기와 여운의 나눔에 감사드려요

축복된 날들이 되세요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7
normal
오작교 22.12.19.10:41 11966
376
normal
오작교 22.12.19.10:04 12245
file
오작교 22.12.19.09:34 11807
374
normal
오작교 22.12.01.12:32 11569
373
normal
오작교 22.12.01.12:06 11225
372
normal
오작교 22.11.28.15:37 12644
371
file
오작교 22.11.28.15:30 10989
370
normal
오작교 22.11.18.21:03 11253
369
normal
오작교 22.11.18.20:52 11246
368
normal
오작교 22.10.24.13:59 11123
367
normal
오작교 22.10.18.15:07 11070
366
normal
오작교 22.10.18.14:45 10721
365
normal
오작교 22.10.05.14:35 11289
364
normal
오작교 22.10.05.14:13 11000
363
normal
오작교 22.09.27.15:56 10409
362
normal
오작교 22.09.22.20:17 9851
361
normal
오작교 22.09.14.09:10 10834
360
normal
오작교 22.09.14.08:56 10977
359
normal
오작교 22.08.05.16:52 11435
358
file
오작교 22.08.02.13:10 11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