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 
        뜻 풀 이  | 
    
낙락장송(落落長松)  | 
        가지가 축축 길게 늘어지고 키가 큰 소나무.  | 
    
낙목한천(落木寒天)  | 
        낙엽진 나무와 차가운 하늘. 곧, 추운 겨울철.  | 
    
낙화유수(落花流水)  |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 가는 봄의 경치, 또는 영락(零落)한 상황을 말함. 이 말은 남녀 사이에 서로 그리는 정이 있다는 비유로도 쓰임.  | 
    
난공불락(難攻不落)  | 
        공격(攻擊)하기가 어려워 함락(陷落)되지 않음.  | 
    
난신적자(亂臣賊子)  | 
        난신(亂臣: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과 
              | 
    
난형난제(難兄難弟)  | 
        누가 형인지 누가 아우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의 낫고   | 
    
남가일몽(南柯一夢)  | 
        한 때의 헛된 부귀. 남가지몽(南柯之夢). 
            한 사람이 홰나무 밑에서 낮잠을   | 
    
남부여대(男負女戴)  | 
        남자는 지고 여자는 임. 가난한 사람들이 떠돌아 다니면서 사는 것을 말함.  | 
    
낭중지추(囊中之錐)  | 
        주머니 속에 든 송곳은 끝이 뾰족하여 
            밖으로 나오는 것과 같이, 뛰어난   | 
    
내우외환(內憂外患)  | 
        나라 안팎의 근심 걱정.  | 
    
내유외강(內柔外剛)  | 
        사실은 마음이 약한데도, 외부에는 강하게 나타남. ↔ 내강외유(內剛外柔).  | 
    
노기충천(怒氣衝天)  | 
        성난 기색(氣色)이 하늘을 찌를 정도라는 데서, 잔뜩 성이 나 있음을 말함.  | 
    
노류장화(路柳墻花)  | 
        누구나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담밑의 꽃으로, 창부(娼婦)를 가리키는 말.  | 
    
노심초사(勞心焦思)  | 
        마음으로 애를 쓰며 속을 태움.  | 
    
녹양방초(綠楊芳草)  | 
        푸른 버들과 아름다운 풀.  | 
    
녹의홍상(綠衣紅裳)  | 
        연두 저고리에 다홍 치마. 곧, 젊은 여자의 곱게 치장(治粧)한 복색(服色).  | 
    
논공행상(論功行賞)  | 
        세운 공을 논정(論定)하여 상을 줌.  | 
    
농가성진(弄假成眞)  | 
        장난삼아 한 것이 참으로 한 것 같이 됨.  | 
    
뇌성벽력(雷聲霹靂)  | 
        우뢰 소리와 벼락.  | 
    
누란지세(累卵之勢)  | 
        달걀을 포개어 놓은 것과 같은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말함.   | 
    
[ 1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