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 
        뜻 풀 이  | 
    
박람강기(博覽强記)  | 
        동서고금(東西古今)의 책을 널리 읽고 사물을 잘 기억(記憶)함.  | 
    
박이부정(博而不精)  | 
        널리 알되 정밀하지 못함. ↔ 정이불박(精而不博)  | 
    
박장대소(拍掌大笑)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 
    
박학다식(博學多識)  | 
        학문(學問)이 넓고 식견(識見)이 많음.  | 
    
반계곡경(盤磎曲徑)  | 
        길을 돌아서 굽은 길로 간다는 데서, 
            일을 순리(順理)대로 하지 않고 옳지   | 
    
반목질시(反目嫉視)  | 
        눈을 뒤집으며 질투하는 투로 봄.  | 
    
반생반사(半生半死)  | 
        반쯤은 살아 있고 반쯤은 죽어 있다는 
            데서, 거의 죽게 되어서 죽을는지   | 
    
반의지희(斑衣之戱)  | 
        중국의 노래자(老萊子)란 사람이 늙은 
            부모를 위로하기 위해   | 
    
반포지효(反哺之孝)  | 
        반포(反哺: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 
    
발본색원(拔本塞源)  | 
        근본(根本)을 뽑고 근원(根源)을 막는다는 
            데서, 폐단(弊端)이 되는   |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것과 같이 언행(言行)이 
            기탄(忌憚)없음. 제 세상인 듯   | 
    
방휼지쟁(蚌鷸之爭)  | 
        무명조개와 도요새의 다툼. 곧, 도요새가 
            무명조개를 먹으려고 껍질 안에   | 
    
배반낭자(杯盤狼藉)  | 
        술잔이 어지러이 널려 있다는 말로, 
            술 먹은 자리의 혼잡한 모양을 이름.   | 
    
배수지진(背水之陣)  | 
        목숨을 걸고 싸움는 경우를 비유함.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韓信)이   | 
    
배은망덕(背恩忘德)  | 
        남한테 입은 은혜(恩惠)를 저버리고 은덕(恩德)을 잊음.  | 
    
백골난망(白骨難忘)  | 
        죽어 백골(白骨)이 되어도 깊은 은덕(恩德)을 잊을 수 없다는 말.  | 
    
백년가약(百年佳約)  | 
        젊은 남녀가 혼인(婚姻)을 하여 한평생을 아름답게 지내자는 언약(言約).  | 
    
백년대계(百年大計)  | 
        먼 뒷날까지 걸친 큰 계획. 백년지계(百年之計).  | 
    
백년하청(百年河淸)  | 
        중국의 황하(黃河)가 항상 흐려서 맑을 때가 없다는 데서 나온 말로, 아무리 오래 되어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일컫는 말  | 
    
백년해로(百年偕老)  | 
        백년(百年:一平生)을 함께 늙는다는 
            데서, 부부가 화합하여 함께 늙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