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 
        뜻 풀 이  | 
    
다기망양(多岐亡羊)  | 
        학문(學問)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진리(眞理)를 
            찾기 어려움. 방침(方針)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달아난 양(羊)을 
            찾으려 할 때에 길이 여러   | 
    
다다익선(多多益善)  | 
        많을수록 더욱 좋음.  | 
    
다재다능(多才多能)  | 
        재능(才能)이 많다는 말.  | 
    
단기지교(斷機之敎)  | 
        맹자(孟子)가 수학(修學) 도중에 돌아왔을 
            때, 그 어머니가 칼로 베틀의   | 
    
단도직입(單刀直入)  | 
        한칼로 바로 적진(敵陣)에 쳐들어간다는 
            뜻으로, 문장 언론 등에서   | 
    
단사표음(簞食瓢飮)  | 
        대바구니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란 뜻으로, 
            변변치 못한 음식, 나아가서   | 
    
단순호치(丹脣皓齒)  | 
        붉은 입술과 하얀 이란 뜻에서, 여자의 
            아름다운 얼굴을 이르는 말.   | 
    
당구풍월(堂狗風月)  | 
        당구삼년(堂狗三年)에 폐풍월(吠風月). 
            곧, 서당 개 삼 년에 풍월을   | 
    
당랑거철(螳螂拒轍)  | 
        사마귀가 팔을 벌리고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뜻으로, 제 분수도 모르고   | 
    
대경실색(大驚失色)  | 
        크게 놀라서 얼굴빛을 잃음.  | 
    
대기만성(大器晩成)  | 
        큰 솥이나 큰 종 같은 것을 주조(鑄造)하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리듯이,   | 
    
대동소이(大同小異)  | 
        거의 같고 조금 다름. 곧, 다른 점보다는 
            같은 점이 많음.   | 
    
대성통곡(大聲痛哭)  | 
        큰 목소리로 슬피 욺. 방성대곡(放聲大哭).  | 
    
대의멸친(大義滅親)  | 
        대의(大義)를 위해서는 부모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 
    
대의명분(大義名分)  | 
        정당한 명분(名分).  | 
    
대자대비(大慈大悲)  | 
        불교(佛敎) 용어로, 넓고 커서 가이없는 자비(慈悲)를 말함.  | 
    
도로무익(徒勞無益)  | 
        한갓 애만 쓰고 이로움이 없음.  | 
    
도청도설(塗聽塗說)  |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데서, 길거리에 떠돌아 다니는 뜬소문을 말함.  | 
    
도탄지고(塗炭之苦)  | 
        진흙탕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듯한 고생(苦生).  | 
    
독불장군(獨不將軍)  | 
        혼자서는 장군(將軍)이 못 된다는 뜻으로, 
            남과 협조해야 한다는 말. 무슨   | 
    
[ 1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