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 
        뜻 풀 이  | 
    
사고무친(四顧無親)  | 
        사방을 둘러보아도 친한 사람이 없음. 곧 의지할 사람이 없음.  | 
    
사면초가(四面楚歌)  | 
        중국 초(楚)나라의 항우(項羽)가 한(漢)나라 
            군사에게 포위당하였을 때, 밤이 깊자 사면(四面)의 한나라 군중(軍中)에서 
            초나라의 노래가 들려 오므로   | 
    
사반공배(事半功倍)  | 
        일은 반(半)만 하고도 공은 배(倍)나 
            된다는 데서, 들인 힘은 적고   | 
    
사분오열(四分五裂)  | 
        이리저리 아무렇게나 나눠지고 찢어짐. 천하(天下)가 매우 어지러움.  | 
    
사불범정(邪不犯正)  | 
        사도(邪道)는 정도(正道)를 범하지 못함. 바르지 못한 것은 바른 것을 범하지 못함.  | 
    
사불여위(事不如意)  |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음.  | 
    
사상누각(沙上樓閣)  | 
        모래 위의 누각(樓閣)이라는 뜻으로, 
            오래 유지되지 못할 일이나 실현   | 
    
사서삼경(四書三經)  | 
        유학(儒學)의 대표작인 경전(經傳). 
            사서(四書)는 논어(論語)·맹자(孟子)·  | 
    
사통오달(四通五達)  | 
        길이나 교통망·통신망 등이 사방으로 막힘없이 통함. 사통팔달(四通八達).  | 
    
사필귀정(事必歸正)  | 
        만사(萬事)는 반드시 정리(正理)로 돌아감.  | 
    
산궁수진(山窮水盡)  |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짐. 곧, 막다른 경우. 산진수궁(山盡水窮).  | 
    
산자수명(山紫水明)  | 
        산은 자주빛이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산수(山水)의 경치가 썩 아름다움을   | 
    
산전수전(山戰水戰)  | 
        산에서 싸우고 물에서 싸웠다는 뜻으로, 세상 일에 경험이 많음을 말함.  | 
    
산해진미(山海珍味)  | 
        산과 바다에서 나는 물건으로 만든 맛좋은 음식.  | 
    
살신성인(殺身成仁)  | 
        목숨을 바쳐 인(仁)을 이룸.  | 
    
삼강오륜(三綱五倫)  | 
        삼강(三綱)과 오륜(五倫).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부위부강(夫爲婦綱)·  | 
    
삼고초려(三顧草廬)  | 
        중국의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남양(南陽)   | 
    
삼순구식(三旬九食)  | 
        한 달에 아홉 끼를 먹을 정도로 매우 가난한 생활을 말함. 삼순(三旬)은 30일로 한 달, 구식(九食)은 아홉 끼.  | 
    
삼인성호(三人成虎)  | 
        세 사람이 범을 만들어 낸다는 말. 거리에 범이 나왔다고 여러 사람이 다 함께 말하면 거짓말이라도 참말로 듣는다는 말로, 근거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는다는 말.  | 
    
삼일유가(三日遊街)  |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한 사람이 사흘 동안 온 거리로 돌아다는 것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