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古事成語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  
       고사성어 
     | 
     
       뜻 풀 이
       
     | 
  
|  
       가가대소(呵呵大笑)  |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  | 
  
|  
       가가호호(家家戶戶)  | 
     
       각 집과 각 호(戶). 곧, 집집마다.  | 
  
|  
       가담항설(街談巷說)  | 
     
       길거리에 떠도는 소문. 세상의 풍문(風聞). 가담항어(街談巷語).  | 
  
|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 같은 것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이고 물건을 강제로 청구하여 국민을   | 
  
|  
       가인박명(佳人薄命)  | 
     
       아름다운 여자는 기박(奇薄)한 운명(運命)을 타고남.  | 
  
|  
       각고면려(刻苦勉勵)  | 
     
       몹시 애쓰고 힘씀.  | 
  
|  
       각골난망(刻骨難忘)  | 
     
        뼈 속에 새겨 두고 잊지 않는다는 데서, 남에게 입은 은혜가 마음 속 깊이   | 
  
|  
       각골명심(刻骨銘心)  | 
     
        뼈 속에 새기고 마음 속에 새긴다는 데서, 마음 속 깊이 새겨서 잊지 않음을   | 
  
|  
       각골통한(刻骨痛恨)  | 
     
       뼈에 사무쳐 마음 속 깊이 맺힌 원한. 각골지통(刻骨之痛).  | 
  
|  
       각주구검(刻舟求劍)  | 
     
        옛날 초(楚)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가다가 강물에 칼을 떨어뜨리게 되자   | 
  
|  
             각자도생 (各自圖生)  | 
    사람은 제각기 살아갈 방법을 도모한다. | 
|  
       간난신고(艱難辛苦)  | 
     
       몹시 힘이 들고 쓰라린 고통을 함. 갖은 고초(苦楚)를 다 겪음.  | 
  
|  
       간뇌도지(肝腦塗地)  | 
     
        참살(慘殺)을 당하여 간(肝)과 뇌(腦)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 
  
|  
       간담상조(肝膽相照)  | 
     
       마음과 마음을 서로 비춰볼 정도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귀는 것을 말함. 간담(肝膽)은 간과 쓸개로 마음을 말함.  | 
  
|  
       갈이천정(渴而穿井)  |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데서, 이미 때가 늦은 것을 일컬음.   | 
  
|  
       감개무량(感慨無量)  | 
     
       감개(感慨)가 한(限)이 없음.  | 
  
|  
       감언이설(甘言利說)  | 
     
       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붙여 꾀는 말.  | 
  
|  
       감지덕지(感之德之)  | 
     
       감사하게 여기고 덕으로 여긴다는 데서, 대단히 고맙게 여기는 것을 말함.  | 
  
|  
       감탄고토(甘呑苦吐)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사리(事理)의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 
  
|  
       갑남을녀(甲男乙女)  | 
     
        갑(甲)이란 남자와 을(乙)이란 여자의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말함.   | 
  
|  
       갑론을박(甲論乙駁)  | 
     
       서로 논박(論駁)함.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