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 
        뜻 풀 이  | 
    
구국간성(救國干城)  | 
        나라를 구원(救援)하는 방패(防牌)와 
            성(城)이란 뜻으로, 나라를 구하여  | 
    
구미속초(狗尾續貂)  | 
        담비의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초부족 
            구미속(貂不足 狗尾)]는  |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으로는 달콤한 소리를 하면서 마음 
            속에 칼을 품는다는 데서,   | 
    
구사일생(九死一生)  | 
        거의 죽을 뻔하다가 겨우 살아남. 대단히 위태로움.  | 
    
구상유취(口尙乳臭)  |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언행(言行) 매우 유치(幼稚)함을 말함.  | 
    
구수회의(鳩首會議)  | 
        여럿이 머리를 맞대고 모여 의논을 함.  | 
    
구우일모(九牛一毛)  | 
        여러 마리의 소의 털 가운데서 한 가닥의 
            털. 곧, 아주 큰 물건 속에 있는   | 
    
구절양장(九折羊腸)  | 
        아홉 번 꺾인 양의 창자란 뜻에서, 꼬불꼬불하고 험한 산길을 말함.  | 
    
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는 태평(泰平)하고 백성은 평안(平安)함.  | 
    
군계일학(群鷄一鶴)  | 
        많은 닭 가운데의 한 마리의 학. 곧 
            많은 평범한 사람들 중의 한 뛰어난   | 
    
군령태산(軍令泰山)  | 
        군대(軍隊)의 명령(命令)은 태산(泰山)같이 무거움.  | 
    
군신유의(君臣有義)  | 
        오륜(五倫)의 하나로, 임금과 신하에게는 의(義)가 있어야 한다는 말.  | 
    
군웅할거(群雄割據)  | 
        많은 영웅(英雄)들이 각지에 자리잡고 서로 세력을 다툼.  | 
    
군위신강(君爲臣綱)  | 
        삼강(三綱)의 하나로, 임금은 신하의 모범(模範)이 되어야 한다는말.  | 
    
군자삼락(君子三樂)  | 
        맹자(孟子)가 말한 군자(君子)의 세 
            가지 즐거움. 곧, 부모가 모두 살아   | 
    
굴이불신(屈而不信)  | 
        굽히고는 펴지 아니함.  | 
    
궁여지책(窮餘之策)  | 
        매우 궁(窮)한 나머지 짜낸 계책(計策). 궁여일책(窮餘一策).  | 
    
권모술수(權謀術數)  | 
        사람을 속이는 임기응변(臨機應變)의 모략(謀略)과 수단(手段).  | 
    
권불십년(權不十年)  | 
        아무리 높은 권세(權勢)도 십 년을 가지 못한다는 말.  | 
    
권선징악(勸善懲惡)  | 
        착한 일을 권장(勸奬)하고 악한 일을 징계(懲戒)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