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 나 - 다 - 라 - 마 - 바 - 사 - 아 - 자 - 차 - 카 - 타 - 파 - 하
고사성어  | 
        뜻 풀 이  | 
    
강구연월(康衢煙月)  | 
        번화한 거리의 안개낀 흐릿한 달이란 
            뜻으로, 태평한 시대의 평화로운   | 
    
강유겸전(剛柔兼全)  | 
        굳셈과 부드러움을 모두 갖춤. 곧, 성품이 굳세면서도 부드러움.  | 
    
강호연파(江湖煙波)  | 
        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잔 물결. 곧, 대자연(大自然)의   | 
    
개과천선(改過遷善)  | 
        허물을 고치고 착하게 됨.  | 
    
개관사정(蓋棺事定)  | 
        관(棺)의 뚜껑을 덮고서야 일이 정해진다는 
            데서, 시체(屍體)를 관에 넣고   | 
    
개선광정(改善匡正)  | 
        좋도록 고치고 바로잡음.  | 
    
개세지재(蓋世之才)  | 
        세상을 뒤덮을 만한 재주. 또, 그러한 재주를 가진 사람.  | 
    
객반위주(客反爲主)  | 
        손이 도리어 주인이 됨. 주객전도(主客顚倒).  | 
    
거두절미(去頭截尾)  | 
        머리를 자르고 꼬리를 자름. 곧, 일의 
            원인(原因)과 결과(結果)를 빼고  | 
    
거안사위(居安思危)  | 
        편안히 살 때 위태로움을 생각함.  | 
    
거안제미(擧案齊眉)  | 
        양홍(梁鴻)의 아내가 밥상을 들어 눈썹과 
            나란히 하여 남편 앞에 놓았다는  | 
    
거자일소(去者日疎)  | 
        죽은 사람에 대해서는 날이 갈수록 점점 
            잊어버리게 된다는 데서, 서로 멀리  | 
    
거자필반(去者必反)  |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옴. ↔ 회자정리(會者定離).  | 
    
건곤일척(乾坤一擲)  | 
        흥망성패(興亡成敗)를 걸고 단판 싸움을 함.  | 
    
격물치지(格物致知)  | 
        사물(事物)의 이치(理致)를 연구(硏究)하여 
            자기의 지식(知識)을 확고하게  | 
    
격세지감(隔世之感)  | 
        세대(世代)를 거른 듯한 느낌. 곧, 딴 세대와도 같이 몹시 달라진 느낌.  | 
    
격화소양(隔靴搔痒)  |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일이 성에 차지 않는 것, 또는 일이   | 
    
견강부회(牽强附會)  | 
        이치(理致)에 닿지 않는 것을 억지로 끌어다 붙임.  | 
    
견리망의(見利忘義)  | 
        이익을 보면 의리(義理)를 잊음. ↔ 견리사의(見利思義).  | 
    
견리사의(見利思義)  | 
        이익을 보면 의리(義理)를 생각함. ↔ 견리망의(見利忘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