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사성어

뜻 풀 이

화사첨족(畵蛇添足)

뱀을 그리면서 발을 보태어 넣는다는 데서, 쓸데없는 일을 하는 것을 말함. 사족(蛇足).

화서지몽(華胥之夢)

낮잠. 선몽(善夢). 옛날 중국의 황제(黃帝)가 낮잠을 자다가 꿈에
화서(華胥)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선정(善政)을 보고 깨어서 깊이
깨달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화용월태(花容月態)

꽃같은 용모(容貌)와 달같은 자태(姿態). 미인(美人)의 얼굴과 맵시.
월태화용(月態花容)

화조월석(花朝月夕)

꽃 피는 아침과 달 뜨는 저녁. 경치(景致)가 썩 좋은 때를 일컫는 말임.

화중지병(畵中之餠)

그림에 떡. 곧 실속없는 말에 비유하는 말. 화병(畵餠).

화풍난양(和風暖陽)

부드러운 바람과 따뜻한 햇볕.

환골탈태(換骨奪胎)

뼈대를 바꾸고 태를 바꾼다는 데서, 시(詩)를 지으면서 고인(古人)의
시구(詩句)를 바꾸고 전인(前人)의 시의(詩意)를 빌려 새롭게 탈바꿈하는
것을 말함.탈태환골(奪胎換骨).

환과고독(鰥寡孤獨)

홀아비[늙고 아내가 없는 사람]·寡婦[늙고 남편이 없는 사람]·孤兒[어리며 부모가 없는 사람]·無依託者[늙어서 자식이 없는 사람].

환호작약(歡呼雀躍)

기뻐서 소리치며 날뜀.

황공무지(惶恐無地)

황공(惶恐)하여 몸둘 곳을 모름.

황당무계(荒唐無稽)

언행(言行)이 허황되어 믿을 수가 없음. 황탄무계(荒誕無稽).

회자인구(膾炙人口)

널리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 회자(膾炙). 회자(膾炙)는 회와 구운
고기로, 널리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것을 말함.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나는 자는 반드시 헤어지게 마련이라는 불교(佛敎) 용어로, 이 세상의
무상(無常)함을 일컬음. ↔ 거자필반(去者必反).

횡설수설(橫說竪設)

조리(條理)가 없는 말을 함부로 지껄임.

후생가외(後生可畏)

후배(後輩)는 나이가 젊고 기력(氣力)이 좋으므로 학문(學問)을 쌓으면
어떠한 역량(力量)을 나타낼지 모르기 때문에 그 앞날이 두렵다는 말.

후회막급(後悔莫及)

뒤에 뉘우쳐도 미치지 못한다는 데서, 잘못된 뒤에 아무리 뉘우쳐도 어찌할 수가 없다는 말.

흥진비래(興盡悲來)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온다는 데서, 순환하는 세상의 이치를
가리키는 말.

희노애락(喜怒哀樂)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 사람의 온갖 감정(感情).

희색만면(喜色滿面)

기쁜 빛이 얼굴에 가득함.

희희낙락(喜喜樂樂)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 1 ] [ 2 ]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