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중에 인연복이 최고다"
 
 
      ''복중에 인연복이 최고다'라는 옛말이 있다.

      어떤 사람을 만나는가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사람 잘못 만나서 넘어지기도 하지만,
      절체절명의 궁지에서 좋은 사람을 만나
      살길이 열리기도 한다.


      사람을 만나려면 그릇이 큰 사람을 만나야 하는데,
      어떤 사람이 그릇이 큰 사람인가.

      사람을 판별하는 지인지감(知人之鑑)이 발달한
      청와 선생이라는 분과 '그릇'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눴던 적이 있다.
      그 골자는 이렇다.


      그릇이 큰 사람은 1만원 벌어서 9천원을 쓰는 타입이다.
      그릇이 작은 사람은 1천원 벌어서 모으는 타입이다.
      대기(大器)와 소기(小器) 양쪽 모두
      1천원 번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대기는 9천원 쓴다는 점이 다르다.

      수중에서 나간 9천원은 새끼를 치기 마련이다.
      시간이 지나서 몇 바퀴 돌다 보면
      이 9천원은 몇 배나 되는 새끼를 쳐서
      본인에게 다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돈을 안 쓰는 사람은 새끼 쳐서 돌아올 돈이 없다.
      그러므로 작은 돈만 만진다.


      살다 보면 운이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다.
      운이 좋을 때도 그렇지만 운이 나쁠 때도
      그릇의 크기에 따라 그 나타나는 현상이 각기 다르다.

      큰 그릇에게 운이 나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예를 들면 돈 빌려준 친구가 돈을 때어 먹고
      도망가는 수가 있다.


      그릇이 작은 사람에게는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그 사람이 하는 장사 자체가 아예 되지 않는다.
      운이 더 나빠져서 상황이 악화되면 어떻게 되는가.
      큰 그릇은 은행 빚을 얻어서 돌린다.
      돈이 없으면 은행대출이라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1000억 이상 빌리면 재벌이다.

      작은 그릇은 기댈 데가 없는 신세가 되다.
      여기서 그릇의 크기를 좌우하는 변수 가운데 하나는
      돈을 쓸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돈을 쓰는 사람은 대기이고,
      돈을 쓰지 못하는 사람은 소기라고 보면 된다.
      돈은 쓰는 만큼 자기 돈에 해당한다.

      재복(財福)이 있다는 것은
      돈을 쓸 수 있다는 입장을 의미한다.

      통장에 수백억 넣어두고
      주변 사람들에게 인색한 사람은
      결과적으로 재복이 없는 팔자와 같다.

      물론 여기서 돈을 쓴다는 것은
      좋은 일에 베푼다는 것을 의미한다.


      옮 김